일부 고위 공직자들이 이번 재산변동때 신고한 골프장 회원권 가격이 올 초 국세청이 발표한 기준시가보다 훨씬 낮은 사례가 있어 골프장 회원권 신고 역시 실효성이 없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골프장 회원권 역시 매입 당시 기준시가로 신고하도록 돼 있는데 그 이후 기준시가의 변동이 반영되지 않으면서 실제 재산 규모를 나타내지 못하고 있는 탓이다. 전윤철 감사원장은 본인 명의의 한원(오산)컨트리클럽 회원권의 가격을 1천350만원이라고 신고했지만 국세청 기준시가는 4천600만원이었다. 김승규 국가정보원장의 일신레저 신원컨트리클럽의 회원권은 3억6천만원으로 신고됐으나 기준시가는 6억1천250만원이었다. 조창현 중앙인사위원회 위원장은 본인이 9천900만원짜리 골드컨트리클럽 회원권을, 배우자가 3천100만원짜리 수원컨트리클럽 회원권을 갖고 있다고 신고했는데 기준시가는 각각 1억1천700만원(주주는 2억9천700만원), 1억2천600만원(주주는 1억3천500만원)이었다. 이성열 소청심사위원장도 자신의 중부CC 회원권이 7천500만원이라고 했지만 기준시가 1억9천350만원과는 크게 차이났다. 권재진 대구지검장의 남서울컨트리클럽 회원권도 신고가(9천400만원)와 기준시가(3억2천200만원)가 큰 차이를 보였다. 이종백 부산고검장이 아내 명의로 신고한 곤지암레저CC와 삼흥수원CC의 회원권 가격은 각각 5천110만원, 7천300만원이었지만 기준시가는 1억3천500만원, 1억2천600만원으로 달랐다. 양천식 금융감독위원회 부위원장의 배우자 명의로 된 뉴스프링빌컨트리클럽의 신고가는 2천700만원이었지만 기준시가는 일반이 2억200만원, 우대가 2억7천만원으로 크게 달랐다. (서울=연합뉴스) 정성호 기자 sisyph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