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비정규직 법안처리가 임박한 가운데 은행권도 비정규직 관리강화에 나설 방침입니다. 하지만 질높은 고객서비스 유지와 인건비 부담 상승 가운데 선택의 고민에 빠진 상태입니다. 최진욱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은행권은 비정규직 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해 내년부터 효력이 발생하더라도 당장 큰 문제는 없다는 입장입니다. 2007년부터 효력이 생겨도 2년이 지난 2009년부터 비정규직 계약갱신을 시작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CG1) (은행별 정규-비정규직 인원현황) (단위:명,%) 은행 정규직 비정규직 비정규직비율 국민 1만6,860 7,059 29.4 신한 1만1,386 2,910 20.4 우리 1만 378 3,339 24.3 하나 7,064 1,697 19.4 (2005년말 현재. 단 신한은 신한+조흥) 지난해 연말 기준으로 국내 주요은행들은 전체 직원 가운데 20~30%를 비정규직으로 운용하고 있습니다. (S1)(비정규직노조, "고용불안 고조") 금융노조에 소속된 비정규직지부는 이미 은행권에서 고용연한제가 부활했다며 현재 근무중인 비정규 직원들의 고용불안이 커질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반면 법안이 통과될 경우 뾰족한 대책마련이 쉽지 않다는게 노조측의 딜레마 입니다. 각 은행별지부는 비정규직 법안에 대해 총파업을 선언했던 민주노총과 해석에 차이를 보이고 있고, 금융노조의 경우 지도부 재구성 문제로 조직적인 지원이 힘든 실정이기 때문입니다. 은행들도 고민스럽기는 마찬가지입니다. (S2) (은행권, 입법취지 살리기 고심) 대부분의 은행들은 '동일노동 동일임금' 원칙을 피하기 위해 정규직과 비정규직 업무를 분리했지만, 사회적 약자를 보호하자는 입법취지에는 부담을 느끼는 실정입니다. 특히 업무특성상 고객서비스의 질을 유지해야하는 은행으로서는 2년마다 비정규 직원을 교체하기도 어려운게 현실입니다. (S3)(우수인력 확보를 위한 절충안도 모색) 한 은행권 관계자는 정규직 전환은 아니지만 필요한 인력에 대해서는 고용을 보장하면서 직무에 맞는 연봉을 책정하는 절충안을 제시하기도 합니다. (S4) (영상편집 이주환) 이처럼 당장 문제가 불거질 공산은 낮지만 비정규직 고용문제는 뚜렷한 해법이 없는 가운데 언제든지 은행권 인력운용의 발목을 잡을수 있는 시한폭탄으로 남을 전망입니다. 와우TV뉴스 최진욱입니다. 최진욱기자 jwchoi@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