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인텔이나 TI(텍사스인스트루먼트)처럼 삼성전자 LG전자 하이닉스반도체 등 국내 IT기업들도 1분기 실적악화에 몸살을 앓고 있다. 이들 업체의 실적부진은 계절적 비수기 요인 외에도 몇 가지 악재들이 겹친데 따른 것이라는 점에서 향후 전망을 불투명하게 하고 있다. 우선 미국 달러화에 대한 원화 환율의 추락이 수출 비중이 높은 IT업계에 직격탄을 날리고 있다. 올해 평균 환율(3월7일까지 누적기준)은 달러당 978원.분기 환율 기준으로 1997년 3분기(898.0원) 이후 9년만에 처음 1000원선 밑으로 떨어질 게 확실하다. 분기 기준으로 환율이 10원 떨어질 경우 삼성전자는 800억원,LG전자는 700억원의 영업이익이 허공으로 사라진다. 두 번째로 좋지 않은 징후는 IT 경기의 바로미터 역할을 하는 반도체 제품들의 가격 급락이다. 특히 낸드플래시 메모리 가격은 계절적인 수요 부진과 해외 경쟁업체들의 잇단 증설 발표로 인해 작년 말에 비해 25%가량 폭락한 상태다. 여기에 '달러 박스' 역할을 해 온 휴대폰 산업도 해외 경쟁 업체들의 역공이 본격화되면서 수익성이 크게 떨어지고 있다. 업계는 그러나 이 같은 분위기가 하반기에는 반전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환율이 발목을 잡을 가능성은 여전히 높지만 IT 업계의 수요 기반이 일시에 붕괴될 가능성은 극히 낮다는 분석이다. 오히려 디지털 컨버전스(디지털 기기의 융·복합)의 가속화와 미국과 유럽 선진국들의 경기회복 등이 상승 모멘텀이 될 수 있다는 전망이다. ◆반도체 낸드플래시 메모리 가격 하락이 실적 부진의 가장 큰 원인이다. 지난 몇 년간 반도체 중흥을 일군 주력 제품이었기에 특히 그렇다. 전문가들은 1분기 가격 하락폭을 당초 15% 안팎으로 예상했으나 두 달여 만에 25% 선까지 떨어지자 심각한 우려감을 나타내고 있다. 증권 시장에서 반도체 관련 주가들이 연일 하락하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이에 대해 삼성전자 관계자는 "1분기에는 중국 춘절 수요가 끝나고 국내외 전자업체들이 가동률을 낮춘 게 영향을 준 것 같다"면서 "2분기부터는 업계의 낸드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하는 IT 신제품 시판이 잇따를 전망인 만큼 가격이 쉽게 무너지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낸드플래시에 비해 D램 가격이 호조를 띠고 있는 것도 희망적이다. 주력 제품인 512메가 DDR2의 경우 지난 1월 초 3.9달러 선에 머물고 있었으나 최근 5달러 선까지 상승했다. 작년 말 인텔이 새 칩셋을 시장에 내놓으면서 DDR2 수요가 꾸준한 데다 하반기에는 마이크로소프트가 새로운 윈도 시스템을 선보일 것이라는 전망에 따른 것이라는 분석이다. ◆휴대폰 휴대폰 부문은 영업이익률이 가장 큰 폭으로 떨어지면서 '속 빈 강정'으로 전락할 처지다. 국내외 업체 간 출혈 경쟁으로 영업이익률은 계속 떨어지고 있다. 삼성전자의 경우 1분기 휴대폰 판매량을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450만대 늘린 2950만대로 예상하고 있지만 영업이익률은 2004년 1분기보다 5%포인트가량 떨어진 12∼13%에 머물 전망이다. LG전자 역시 휴대폰 부문의 영업이익률이 4% 선에 그치고 있다. 문제는 향후 전망이 더욱 비관적이라는 점이다. 노키아는 프리미엄 제품으로 삼성전자의 시장을 잠식하겠다는 전략이고 모토로라도 슬림폰과 다양한 기능을 갖춘 제품군으로 국내 업체의 허를 찌르고 있다. LG전자 관계자는 "휴대폰이 성숙 산업으로 자리 잡으면서 과거와 같은 두자릿수의 영업이익률은 앞으로 기대하기 힘들 것"이라며 "더욱이 해외 업체들의 공세가 갈수록 거세지고 있어 당분간 고전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디스플레이 독일 월드컵 특수로 LCD나 PDP TV 수요는 늘고 있지만 이익은 빈약하기만 하다. 특히 PDP패널 생산업체의 경우 TV 세트업체들의 가격하락 경쟁에 휘둘려 수요 확대를 수익으로 연결하지 못하고 있다. 이 같은 추세는 하반기에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대만의 AUO,CPT 등 후발 업체들이 5~6세대 라인 수율을 빠르게 끌어올리면서 가격을 후려치고 있는 데다 선발 주자인 삼성전자 LG필립스LCD 등도 주도권 장악을 위해 8세대 투자에 나설 계획이기 때문이다. 막대한 투자비에 비해 기대할 수 있는 이익 수준이 너무 낮다는 것이 업계의 고민이다. 조일훈·김형호·고성연 기자 ji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