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우리당이 수도권 대책 마련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우리당 수도권발전특위는 이달초부터 서울, 인천, 경기 등 지역별로 발전대책을 마련, 정부와 협의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달 말 최종안을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지난해 6월말 정부는 수도권 종합 대책을 발표한 바 있으나 `알맹이가 없다'는 당의 지적에 밀려 추가 보완 대책을 마련키로 한 이후 8개월여 만에 수도권 대책의 결정판이 나오게 되는 셈이다. 현재 특위 산하 지역별 소위가 정부에 제시한 발전대책은 크게 군사시설 및 혐오.기피시설의 추가 이전(서울), 규제 완화 및 투자확충(경기), 경제발전구역 지원 강화(인천) 등이다. 서울의 경우 5대 IT 거점과 3대 바이오클러스터 조성이라는 기본 골격은 유지했다. 따라서 종로.중구.도심(문화형), 강남(소프트웨어형), 구로.금천(하드웨어형), 상암(미디어.엔터테인먼트), 공릉(나노)에 IT 거점을 구축하고 홍릉 바이오밸리와 강북 메디클러스터, 관악 생명공학 클러스터 조성은 계획대로 추진된다. 다만 우리당은 시설 이전을 추가로 정부에 요구했다. 육군사관학교와 창동 철도차량 기지창, 노원 면허시험장, 당인리 화력발전소, 태릉선수촌 등이 대상시설로 우리당은 이전 부지에 서울시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교육.문화.복지시설 등의 건립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따라 기존에 당정이 서울시 외곽으로 시설을 이전키로 합의한 구로 차량기지, 국방대학교, 금천구 도하부대, 영등포 교도소, 기무사 등을 포함하면 이전시설은 많게는 10여곳에 이를 전망이다. 경기도의 경우에는 사회간접자본시설(SOC) 투자확대와 규제 완화가 핵심이다. 우리당은 경기도를 7개 권역으로 나눠 첨단, 지식기반산업을 유치하고 정비발전지구 지정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기존 틀을 유지키로 하되 공장총량제 완화, 수도권 대기환경법 규제 개선, 자연보전권역 택지규제 대폭 완화 등 보완책 마련을 정부에 주문했다. 우리당은 인천지역에 대해선 경제개발구역 지원 강화를 중심으로 보완대책을 마련했다. 당은 ▲인천 경제자유구역 정부지원 50% 증액 ▲인천항 내항의 경제자유구역 포함 ▲경제자유구역내 청라지구의 성장관리지역 변경 등을 정부에 제안하고 인천항과 개성물류단지 연계, 인천대 국립대학화, 경인운하 조성, 송도신항 조기완공 등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수도권 대책특위 관계자는 "당의 요구에 대해 정부가 난색을 표하는 몇가지 현안이 있다"며 "그러나 지난해 발표한 정부의 수도권 대책에 `내용'이 없는 만큼 최대한 당의 요구를 반영해 최종안을 이달말 확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정윤섭 기자 jamin74@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