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아시아 각국의 우수학생들을 유치하기 위해 '일본판 풀브라이트장학금' 제도를 만들기로 했다고 한다. 일본 경제산업성이 이 아이디어를 제안했다는 점, 그리고 아시아 인재기금(가칭)이란 명칭에서 일본이 아시아 우수두뇌들을 확보(確保), 연구경쟁력을 높이는 동시에 일본에 우호적인 이해관계자들을 많이 양산하겠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과거 미국이 그러했듯이 아시아로 눈을 돌리는 일본의 이런 개방적 인재유치 정책은 우리에게 시시하는 바 크다고 본다. 학생들이 연구에만 전념할 수 있도록 3년에 걸쳐 1명당 월 30만엔의 장학금을 주고, 기업 수요가 높은 수학 과학 정보기술 등의 분야에서 대학생과 사회인들을 대상으로 시험을 치러 매년 700명씩 선발한다는 것이고 보면 아시아 우수인력을 끌어들이기에 충분한 유인책이다. 게다가 일본 정부가 이 유학생들이 일본 기업에 취직할 경우 국적 제한을 면제해주는 우대조치까지 검토중이라고 하니 더욱 그렇다. 사실 인재양성 투자만큼 그 효과가 지속적인 것도 없다. 몇 년 지나면 일본 기업들의 인력선택의 폭은 그만큼 넓어질 것이다. 유학생들이 본국으로 돌아가도 그 네트워크는 두고두고 자산으로 남는다. 외국 유학생이 국내 기업에 취업하면 내국인에게 피해를 주지 않느냐는 지적도 나올 수 있지만 꼭 그런 것도 아니다. 자유무역협정(FTA) 확산으로 갈수록 노동시장이 넓어지고 있고, 특히 국내기업들의 해외진출시 양쪽을 이해하는 이들 유학생만큼 적합한 인력도 없다는 점에서 그렇다. 우리나라도 인력확보에 대해 보다 유연하고 개방적 시각을 가질 때가 왔다. 벌써부터 고령화,저출산으로 향후 노동공급에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지금은 국내인력들이 기피하는 생산직 인력공급을 개도국 출신들이 떠맡고 있지만 앞으로는 해외 우수인력 유치가 과제로 등장할 게 분명하다. 미국 등 선진국들이 고급인력 확보 차원에서 우수유학생 유치에 발벗고 나서고 이민법상 특례(特例)까지 만드는 것을 더 이상 남의 얘기로만 생각할 게 아니다. 글로벌화되고 있는 국내 대기업들은 전략적 차원에서 아시아 인재유치에 나서고 있고, 국내 대학들도 이런저런 이유로 아시아 유학생 확보에 눈을 돌리고 있다. 이왕이면 우수한 인력이 국내에 들어오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면 우리 정부도 관심을 가져 볼 문제임이 분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