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통신 3사가 27일 정보통신부에 휴대전화 보조금 액수를 명시해 신고한 약관은 '자사 가입자는 지키고, 경쟁사 가입자는 빼앗아 오기' 전략을 분명히 드러냈다. 보조금 지급대상이 가장 많은 SK텔레콤[017670]은 수성전략에 따라 '가입자 지키기'에 초점을 맞추면서도 KTF와 LG텔레콤[032640] 가입자에 대한 공략의 의지를 담았고, KTF와는 LGT는 SKT의 장기 우량가입자 공략에 주안점을 두고 적극적인 `가입자 뺏기'에 나설 것임을 시사했다. 이에 따라 가입기간 1년6개월 이상된 가입자에게 보조금 지급이 공식 허용된 27일 이후 이동통신 시장은 3사간 가입자 뺏기 쟁탈전으로 극심한 과열조짐을 보일 것으로 보인다. 소비자들도 복잡한 보조금 체계에 따라 자신이 받을 수 있는 보조금 액수 등에 상당한 혼선을 빚을 것으로 우려된다. 이통3사 약관에 따르면 3사는 공히 27일 최근 6개월간 월 평균 이용금액(ARPU)을 바탕으로 기간에 따라 보조금 액수에 차등을 뒀다. SKT와 KTF는 가입기간을 1년6개월 이상∼3년 미만, 3년이상∼5년 미만, 5년 이상 등 3단계로 구분했고, LGT는 1년6개월 이상∼3년 미만, 3년 이상∼5년 미만외에 5년 이상∼8년 미만, 8년 이상 등으로 가입기간을 4단계로 세분화했다. 이통3사가 지급키로 한 보조금의 최소액과 최대액를 보면 SKT의 경우 최소 7만원, 최대 17만원이고 KTF는 6만원에서 20만원, LGT는 최소 5만원, 최대 21만원으로 나타났다. 이를 보면 각사가 현재 자사 가입자의 특성을 감안, 이탈방지를 꾀하면서 동시에 경쟁사 가입자 유치에 상당한 공을 들였음을 알 수 있다. 우선 SKT는 보조금을 지급해야할 가입자가 자사의 전체 가입자중 69%에 해당하는 1천345만여명에 달하는 데다 ARPU가 높은 장기 우량가입자가 많은 점을 감안, 이들의 이탈방지를 위해 보조금 상한액(ARPU가 9만원이상이고 가입기간이 5년이상)을 19만원으로 설정했다. 지급대상이 많은 만큼 보조금 액수가 많을 수록 잠재적 부채가 늘어나는 부담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반면 보조금 하한액(ARPU가 3만원 미만이고 가입기간이 3년 미만)은 7만원으로 3사중 가장 많다. 이는 KTF와 LGT의 가입자를 겨냥, 적극적인 공세를 펴겠다는 의미로 보인다. SKT는 "기존 고객에 대한 '유지 마케팅'에 만전을 기한다는 전략"이라면서 "장기 가입자들이 보조금 혜택을 최대한 누릴 수 있도록 하는 데 역점을 뒀다"고 말했다. 2위 사업자인 KTF는 1위 사업자인 SKT와 3위 사입자인 LGT와의 사이에서 중간적 입장을 그대로 드러냈다. 보조금 상한액(APRU가 7만원 이상이고 가입기간이 5년 이상)을 20만원으로, 하한액(ARPU가 3만원 미만이고 가입기간이 5년 이상)을 6만원으로 정한 것이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즉 보조금 상한액을 SKT의 19만원보다 높임으로써 SKT의 장기.우량 가입자에 대한 공략과 함께, 하한액도 LGT의 5만원보다 높게 설정, LGT의 신세대 가입자도 동시에 넘보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반면 3위 사업자인 LGT는 보조금 상한액(ARPU가 10만원 이상이고 가입기간이 8년 이상)을 3사중 최고치인 21만원으로 책정함으로써 SKT의 장기.우량 가입자를 적극 공략하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드러냈다. 아울러 APRU와 가입기간을 세분화해 가장 복잡한 보조금 지급체계를 만들어 다양한 보조금 액수를 설정함으로써 자사 가입자의 이탈방지와 동시에 KTF 가입자에 대한 공략에도 적극 나설 것임을 시사했다. (서울=연합뉴스) 이정내 기자 jnle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