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연대는 38개 그룹 오너 일가의 주식거래를 분석한 결과 250개 분석대상 회사 가운데 64개사에서 문제성 거래 70건이 발견됐다고 6일 발표했다. 이에 대해 재계는 "참여연대가 일방적이고 편협한 시각으로 기업들을 범죄인시하고 있다"며 "전혀 문제될 게 없다"고 반박했다. 참여연대는 기존 사업 부문을 분할하거나 이와 밀접한 사업연관성이 있는 회사를 신설한 뒤 총수 일가가 그 지분을 취득하는 '회사기회 편취' 행위가 30건에 달하며 사업연관성이 없는 회사를 세운 뒤 지분을 대주주가 취득하는 '지원성 거래'도 20건이 발견됐다고 밝혔다. 또 계열사가 현저히 불공정한 가격으로 주식 또는 CB(전환사채),BW(신주인수권부사채) 등 주식연계증권을 총수 일가와 거래하는 '부당주식거래'도 20건 발견됐다고 주장했다. 참여연대는 이 가운데 글로비스광주신세계의 이사들을 배임혐의로 형사고발키로 했다. 이 같은 참여연대의 주장에 대해 해당 기업들은 "사실과 다르다"고 반박했다. 삼성 관계자는 "회사의 내부거래를 일방적이고 편협한 시각으로 재단해 발표하는 것은 기업들의 해외신인도가 추락하는 점을 감안하면 유감스럽다"고 밝혔다. SK그룹 관계자도 "최태원 SK㈜ 회장이 SK C&C 지분 30%를 SK텔레콤에 무상증여하고 계열사 간 거래에 대해 사외이사가 절반 이상인 이사회로부터 감시받게 하는 등 불공정행위를 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신세계는 "광주신세계를 별도 법인으로 설립해 상장시키라는 것이 광주시의 허가 조건이었으며 구조조정 과정에서 증자여력이 없어 정용진 부회장 개인이 증자에 참여했을 뿐"이라고 설명했다. 두산 관계자는 "㈜두산이 발행한 해외 신주인수권부사채가 팔리지 않아 대주주가 인수했으나 책임 차원에서 전량 소각했다"며 "참여연대의 주장을 받아들여 이미 상황 종료된 사안"이라고 말했다. 한진 금호아시아나 효성 STX 농심 등 거론된 기업들도 "사업상의 필요에 의해 이뤄진 거래로 대주주가 부당하게 이득을 얻지 않았다"고 반박했다. 그러나 현대자동차는 참여연대의 발표 내용 중 상당수가 검찰 수사와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사안인 만큼 대응을 자제했다. 현대차 관계자는 "평소라면 참여연대의 지적에 적극적으로 해명하겠지만 지금은 수사와 관련된 사안이기 때문에 뭐라 말할 입장이 아니다"고 말했다. 정태웅 기자 redae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