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유가가 연일 급등하자 승용차 요일제 전면 시행 등 강제 석유 소비 억제책이 다시 검토되기 시작했다.

정부는 이란 핵문제에 대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이란 제재가 결정되는 5월 초 이후 승용차 요일제를 시행하는 방안을 모색 중이다.

산업자원부 관계자는 "원유 도입 물량의 80%를 의존하는 중동산 원유의 기준인 두바이유 가격이 배럴당 63달러까지 치솟아 지난해 하반기 검토했던 석유 소비 억제책을 다시 들여다보고 있다"고 12일 밝혔다.

산자부는 지난해 이라크 문제가 꼬이고 미국에서 대형 허리케인이 발생해 두바이유 가격이 배럴당 60달러까지 오르자 11월 당정협의를 갖고 상황이 심각해질 경우 수요 억제책을 시행키로 했으나 유가가 다시 안정돼 논의를 중단했다.

산자부 관계자는 "두바이유 가격만을 놓고 보면 현재 상황이 지난해 하반기보다 훨씬 나쁘지만 유가 추이와 수요 억제책이 국민 생활에 미칠 영향 등을 종합 고려해 수요(소비) 억제책 시행 여부가 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산자부는 이란 핵문제와 관련해 국제 유가가 급등할 경우 이르면 5월 중 승용차 요일제를 시행하는 방안을 심사숙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두바이유 현물 가격은 지난 11일 배럴당 63.63달러를 기록,전날의 사상 최고치 62.11달러를 하루 만에 갈아치웠다.

미국 서부텍사스중질유(WTI) 선물가격도 전날보다 0.24달러 오른 배럴당 68.98달러에 마감됐다.

박준동 기자 jdpow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