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고유가시대 극복을 위해 경차와 소형차 보급확대를 위한 지원이 확대되고 공공부문부터 승용차요일제 의무화 등 에너지 강제절약조치가 시행됩니다.

정부는 19일 청와대에서 노무현 대통령 주재로 한명숙 국무총리, 산업자원부 등 관계부처 장관, 에너지업계 대표 등 4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4차 국가에너지자문회의를 갖고 에너지정책을 논의했습니다.

정세균 산업자원부 장관은 보고를 통해 민간은 자율적 에너지 절약방안을 추진하되 공공부문은 승용차요일제, 여름철 냉방온도(26~28℃) 준수, 여름철 간소복 착용 등 의무적 조치를 취해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와함께 해외자원개발, 신재생에너지 보급, 에너지 저소비형 사회로 이행 등 신고유가를 극복하기 위한 에너지 정책을 발표했습니다.

정 장관은 지난해 4.1% 수준인 석유.가스 자주개발률에 2030년까지 35%로 끌어올리고 현재 44%가 넘는 석유의존도를 35%로 낮추며 친환경에너지 보급률 9%를 달성해 에너지 강국으로 도약한다는 '2030 에너지 비전'을 제시했습니다.

이에따라 석유 사용량의 20% 비중을 차지하는 수송용 소비를 줄이는데 집중하고 에너지 소비가 적은 경차와 소형차의 보급확대를 위한 지원제도를 강화합니다.

또한 신고유가와 기후변화 협약 발효등으로 미국, 일본 등 세계 주요 국가들이 원자력 발전에 대한 비중을 확대하고 있는 것에 맞춰 우리나라도 원자력발전에 대한 전향적인 정책을 검토키로 했습니다.

김경식기자 kskim@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