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고유가시대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등 공공부문에 대한 에너지 강제절약 조치가 시행됩니다.

이와 함께 경차와 소형차의 보급확대를 위한 지원제도에 대해 전면적인 재검토가 이뤄집니다.

정부는 청와대에서 노무현 대통령 주재로 한명숙 국무총리와 관계부처 장관, 에너지업계 대표 등 4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4차 국가에너지자문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에너지정책을 논의했습니다.

정세균 산업자원부 장관은 보고를 통해 민간중심의 자율적 에너지 절약방안을 추진하고 공공부문의 경우 승용차요일제와 여름철 냉방온도 준수, 여름철 간소복 착용 등 의무적인 조치를 취해 나가겠다고 설명했습니다.

공공부문의 승용차요일제는 현행 10부제를 강화한 것으로 국무총리 훈령 개정을 통해 시행됩니다.

승용차 요일제가 시행될 경우 시민들은 공공기관을 승용차로 방문할 때 요일에 따라 제한을 받게 됩니다.

강제절약 조치는 국제 에너지 동향에 따라 단계별로 3단계 시나리오에 따라 시행되며 이번 조치는 시나리오 1단계에 해당됩니다.

정세균 장관은 최근의 고유가 흐름이 중장기적으로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해외자원개발과 신재생에너지 보급, 에너지 저소비형 사회로의 이행 등 신고유가 극복 5대 실천전략도 발표했습니다.

정부는 이에 따라 경소형차 보급 확대를 위한 홍보를 강화하고 지원제도를 전면 재검토하는 한편 에너지 다소비업체의 에너지 감축을 강력하게 유도하기 위해 자율협약보다 강화된 정부와의 협약제도를 도입하는 방안을 추진한다는 방침입니다.

이와 함께 신재생에너지에 대해 자율적으로 높은 가격을 지불하는 '그린 프라이스' 제도의 도입을 검토하고 공공기관의 신재생에너지 설비 의무화 제도를 적용해 행정복합도시와 혁신도시를 첨단 신재생에너지 도시로 건설할 계획입니다.

또한 해외자원 개발과 함께 북한 광물자원개발, 동해 유망지역 탐사 시추 강화, 동해 가스하이드레이트의 본격적인 개발 등 한반도 부존자원의 개발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김정필기자 jpkim@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