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원민족주의가 세계적으로 도미노 현상을 일으키고 있다.

1970년대의 오일쇼크 때와 마찬가지로 비산유국들로선 입술이 바짝바짝 탈 지경이다.

그렇다면 1970년대의 '오일쇼크'와 최근의 '자원민족주의'는 어떻게 다를까.

또 1930년대 및 1970년대의 남미에서 유행했던 국유화와 최근의 자원 국유화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

자원민족주의는 자기 나라에서 보유하고 있는 천연자원을 무기로 사용하는 풍조를 의미한다.

따라서 석유자원을 무기로 했던 오일쇼크와 천연가스를 주된 무기로 하고 있는 최근의 자원국유화는 똑같은 자원민족주의라고 할 수 있다.

오일쇼크가 석유메이저들에게 휘둘리던 중동산유국들이 석유주권을 찾아오자는 동기에서 촉발됐듯이 남미국가들이 외국자본에 뺏긴 자원처분권을 회수하겠다는 취지로 단행하는 자원국유화의 동기도 비슷하다.

그러나 오일쇼크 때는 일종의 담합에 의해 가격과 생산량을 일방적으로 결정한 반면 남미 자원국유화는 소유권과 처분권만 가져간다는 점이 다르다.

1973년 발생한 1차 오일쇼크는 중동의 6개 석유수출국들이 원유고시가격을 17% 인상하고 매달 원유생산을 5%씩 감산키로 결정한 데서 촉발됐다.

2차 오일쇼크는 1978년 석유수출국기구(OPEC)회의에서 유가를 14.5% 인상키로 결정한 데 이어 이란이 국내 사정으로 원유 감산과 수출 중단을 한 데서 비롯됐다.

역시 가격 인상과 감산이 동시에 사용됐다.

남미의 자원민족주의는 크게는 러시아를 모델로 하고 있다.

세계 천연가스 매장량의 30.5%를 보유하고 있는 러시아의 푸틴 대통령은 2000년 취임 직후부터 석유와 가스회사를 국영화하고 있다.

자원통제권을 확보한 러시아는 국제적인 위상을 회복하는 데 성공했다.

이에 고무돼 베네수엘라 볼리비아 등이 잇따라 자원국유화를 선언하고 있다.

다만 지금의 자원국유화는 1930년대 및 1970년대의 국유화와 과정이 약간 다르다.

과거 포퓰리즘 정권은 국유화를 단행하면서 외국자본에 무조건 철수를 명령했다.

아무런 보상도 없이 "무조건 떠나라"는 식이었다.

이에 비해 최근의 자원국유화는 '보상 후 지분매입' 및 '외국자본과의 동거'를 원칙으로 한다.

로열티 및 세금 인상을 통해 외국기업이 생산한 자원의 처분권을 확보한 다음 정당한 보상절차를 거쳐 지분을 단계적으로 매입한다.

기술 및 자본 투자를 지속하게 만들겠다는 의도에서다.

남미 국가들이 '자원국유화'라는 말 대신 '재계약에 따른 윈-윈 전략'이라고 강변하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