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선거가 끝나기도 전에 열린우리당 내부에서는 선거 후 당의 진로를 둘러싼 각종 설이 무성하다.

정동영 의장이 "지방선거가 끝나면 민주당 등 민주세력이 연대할 수 있다" "대선을 앞두고 민주세력이 큰 틀에서 연합하는 모양새가 될 것이다"라는 내용의 정계개편 가능성을 화두로 던진 게 단초가 됐다.

그렇지 않아도 선거 패배가 기정사실화되고 있는 데다 온통 선거 후로 관심이 쏠린 상황에서 나온 정 의장의 이 언급은 그동안 잠복했던 각종 정계개편 시나리오를 수면 위로 끌어올리는 계기로 작용했다.

그만큼 여당의 위기감이 크다는 방증이다.

이미 "지금의 당으로는 안된다"는 데 광범위한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

지도부 사퇴와 당 쇄신 차원을 넘어 아예 당 간판을 내리고 정치판을 새롭게 짜야 한다는 얘기까지 공공연하다.

'민주세력 대연합론'과 '분당 후 3자 연대론' '개헌론' 등이 조심스럽게 제기된다.

이 중 가장 무게가 실리는 시나리오는 민주세력 대연합론이다.

열린우리당과 민주당,고건 전 총리가 연대하는 게 핵심이다.

3자 연대를 통해 차기 대선구도를 한나라당 대 반한나라당 구도로 몰고가겠다는 의지 표명이다.

문제는 실현 가능성이 낮다는 점이다.

민주당이 순순히 응할 리 만무하고,그렇다고 "당을 해체하라"는 민주당의 요구를 선뜻 들어줄 수도 없는 처지다.

고 전 총리는 '대선후보 추대'가 전제되지 않는 이상 흔들리는 배에 올라탈 가능성은 낮다.

오히려 선거에서 참패하면 열린우리당이 정계개편을 주도하기는커녕 정계개편의 격랑 속에서 당의 존립 자체가 위협받는 상황에 직면할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다.

대연합론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당이 둘로 쪼개지는 사태도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이다.

실제 민주당과의 통합론에 대해 당내 이견이 심각하다.

호남 출신 의원 상당수가 통합에 사활을 걸고 있는 반면 노무현 대통령과 친노세력은 반대하고 있어 양측이 정면 충돌할 개연성이 다분하다.

우여곡절 끝에 통합쪽으로 기울면 노 대통령과 친노세력이 이탈할 수 있고 거꾸로 통합불가쪽으로 흐르면 호남 출신 의원들이 집단 탈당할 개연성도 없지 않다.

한 관계자는 "대연합론 추진 과정에서 여당이 먼저 분열하고 그 한 축과 민주당,고건 세력 등이 합하는 정계개편이 일어날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개헌론을 들고 나올 수도 있다.

정 의장은 이미 "내년이 개헌을 하기에 가장 적절한 시점"이라고 화두를 던진 상태다.

대통령 중임제 등 개헌문제를 고리로 난국 돌파에 나설 수 있지만 개헌저지선인 원내의석 3분의 1 이상을 확보한 한나라당이 부정적 입장이어서 탄력을 받기는 현실적으로 어렵다.

일각에서는 정 의장이 '백의종군'을 선언,의장직에서 물러난 뒤 7월 재·보선에서 서울 성북을 등에 출마하는 방안도 거론되고 있다.

이재창 기자 leej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