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우리당이 '정당민주화의 꽃'이라며 자랑해왔던 기간당원제가 결국 수술대에 오르게 됐다.

김근태 의장이 10일 기간당원제 재정비를 들고 나온 것은 상향식 정당운영이라는 이상과는 달리 현실속에서 당비대납과 페이퍼 당원,민심과의 괴리 등 여러 가지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특히 공직후보를 뽑는 선거 직전 당원 숫자가 크게 늘어났다가 선거 후 '썰물'같이 빠져나가는 등 진성당원이 아닌 후보선출용 '동원당원'으로 전락했다는 지적까지 받았다.

기간당원은 매달 2000원 이상의 당비를 납부하고 연 1회 이상 연수를 받는 당원에게 부여되는 자격으로,일반당원과는 달리 당내 선거권 및 피선거권,당직 소환권을 갖는 등 권한이 막강하다.

공천권을 좌지우지하던 보스정치를 타파하고 당원에 의한 직접 민주주의 구현이 당초 취지였으나 오히려 민심과 당심의 괴리를 가져왔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선거 때만 되면 후보들은 자기 사람 끌어들이기로 기간당원제를 이용했고,선거 후엔 껍데기만 남은 상황이 되풀이됐다.

진성당원의 숫자 추이가 이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현재 기간당원 수는 20만명 정도다.

지난해 한때 55만명에 달했던 것에 비하면 절반도 안 되는 숫자다.

한 당직자는 "기간당원제의 방향은 옳았으나 동원당원으로 전락하는 등 심각한 문제가 야기된 게 사실"이라며 "당원 숫자가 이처럼 둘쭉날쭉하는 등 고무줄 통계가 된 것은 동원된 당원들이 선거 후 빠져나가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상과 현실속에서 고민하던 당 지도부가 결국 현실쪽을 택한 것이다.

당 지도부가 내부적으로 검토하고 있는 개선방향은 기간당원의 의무를 강화하되 권한은 축소한다는 내용이다.

기간당원의 당비를 현재 2000원에서 1만원 정도로 높이고 교육을 한층 강화하되 공직후보 선출시 기간당원의 참여 비율을 축소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한 관계자는 "공직후보 선출시 기간당원 비율을 낮추고 일반 국민의 참여폭을 넓히는 게 핵심 내용"이라고 전했다.

기간당원제는 창당 이후 개혁파와 실용파가 줄곧 부딪쳐온 민감한 현안이라는 점에서 논의과정에 적지 않은 논란이 예상된다.

이재창 기자 leej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