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각지에서 몰려든 캐나다 이민자들이 캐나다 정부의 적극적인 정착 지원을 받지 못해 사회적으로 고립되는 상황이 초래되고 있다.

캐나다는 노동력의 상당 부분을 이민자에게 기대하고 있지만 정작 이들의 정착을 돕는 예산 확대에는 미온적이라는 지적이다.

캐나다 일간지 글로브앤메일은 13일 캐나다지역사회재단(CFC)과 법률위원회가 발간한 보고서를 인용,이같이 보도했다.

신문에 따르면 최근 캐나다로 들어오는 이민자들의 교육 수준이 이전 세대보다 높아지고 있지만 취직과 언어훈련,주택,의료서비스,캐나다에서 가족과 재결합하는 부분에서 훨씬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보고서를 작성한 사라 웨일랜드는 "인터뷰에 응한 수십명의 이민자들은 그들의 생활이 고국에 있을 때보다 더욱 악화됐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그는 "불가리아 출신의 한 여성 이민자는 오히려 불가리아에 있는 남편이 보내준 돈으로 살고 있었다"며 "인적자원을 이런 식으로 낭비하는 것은 범죄"라고 안타까워했다.

로열뱅크 금융그룹도 지난 20년 사이에 정착한 이민자들이 캐나다 현지인들의 생활 수준을 따라가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보고서를 최근 냈었다.

이 같은 문제는 이민자들의 정착과 구직을 지원하는 데 쓰이는 관련 예산이 삭감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글로브앤메일은 지적했다.

이민자 정착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밴쿠버재단의 페이 와이트먼은 "이민자들의 영어나 불어교육을 지원하는 연방정부 보조금도 1996년 이후 한번도 인상된 적이 없었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정착하지 못하고 다시 본국으로 돌아가는 사람들도 생겨나고 있다.

캐나다 연방통계국 조사에 따르면 남성이민자 6명 중 1명이 마땅한 직장을 찾지 못해 1년 내에 캐나다를 떠나고 있다.

오타와와 각 주정부들은 이에 따라 이민자들의 효과적인 정착을 가로막는 각종 장애물을 철폐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관련 예산이 증액되지 않는 한 문제 해결은 요원해 보인다.

보고서는 "현행 이민 프로그램은 사무직 화이트칼라를 선호하고 있다"며 "캐나다에선 블루칼라 노동자들이 더 필요하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는 것이 차선책"이라고 조언했다.

캐나다는 매년 23만∼26만명의 이민을 받아들이고 있다.

장규호 기자 daniel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