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계는 내년 노사 관계가 대통령 선거 및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반대 투쟁 등 정치적 이슈와 맞물려 더욱 첨예화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특히 임금 인상이나 복지 개선 등 기존 사업장 내 이슈보다 민주노총과 한국노총의 세 불리기나 사내 복수노조 간 선명성 경쟁으로 인한 '노·노' 갈등이 핵심 이슈가 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승철 전국경제인연합회 경제조사본부장은 "산별 노조가 전통적 현안인 임금이나 복지보다는 정치 이슈화를 통한 노조의 영역 확대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며 "특히 노조 입장에서는 정치 이슈화의 호기인 대통령 선거가 있어 노조 활동이 정치 투쟁으로 비화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내년부터 실시되는 노조 전임자 임금지급 중단으로 개별 노조들이 겪게 될 재정 문제도 노선 강경화의 빌미가 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이 본부장은 "노조 전임자 임금을 노조 내부에서 해결하면서 생기는 재정 문제로 인한 불만을 외부로 돌리기 위해 더욱 강성으로 치달을 개연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윤창현 서울시립대 경제학과 교수는 "노조가 사업장을 뒤로 하고 정치 투쟁에 나설 경우 스스로 정당성을 훼손하는 우를 범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윤 교수는 "일부 기업 노조의 경우 귀족 노조라 불릴 정도의 임금을 받고 있고 대기업과 중소기업 노조 간 임금 격차가 갈수록 벌어지고 있다"며 "이런 현실을 외면한 채 세 불리기 차원에서 강경 투쟁으로 나선다면 시민들의 외면을 자초한 전교조와 같은 부메랑을 맞을 것"이라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윤 교수는 이어 "정치권도 표를 의식해 노조의 무리한 요구에 끌려다닐 경우 향후 우리 경제에 커다란 짐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형호 기자 chs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