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경영진은 한 달여에 걸친 파업 사태가 마무리됐음에도 불구하고 한숨을 돌리지 못하고 있다.

수시로 노무관계 임직원들이 모여 회의를 갖는 등 여름 휴가철이 무색할 정도다.

내년부터 복수 노조가 허용됨에 따라 계파 간 갈등을 빚고 있는 현 노조가 여러 개로 쪼개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올해도 현 노조 집행부를 반대하는 계파들 때문에 임단협 잠정 합의안이 부결될까봐 전전긍긍해야 했다.

내년에는 특히 현대차 노조가 산별 교섭에 나섬에 따라 기존의 방식과는 다른 대책을 세워야 하는 상황이다.



삼성 LG 등 다른 기업들도 내년 노사관계 대응이 쉽지 않을 것으로 보고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그러나 "올해 노사 관리에 투입한 비용 및 시간보다 1.5~2배를 더 들여도 모자랄 판"이라는 노무 관계자들의 하소연만 이어질 뿐이다.


○복수노조 폭풍 우려

삼성그룹은 내년부터 2인 이상이면 노조를 설립할 수 있기 때문에 무노조 전통이 깨질까 전전긍긍하고 있다.

LG전자도 그동안 노조 사각지대였던 사무직 직원들이 사무직 노조를 결성할 수 있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상대적으로 업무 시간은 긴 반면 성과 보상이 생산직에 비해 만족할 만하지 못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어서다.

근래 들어 조종사들의 파업으로 어려움을 겪었던 항공업계도 업무 직군에 따라 더 세분화된 노조가 설립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현재 항공업계는 일반직과 조종사 노조의 복수노조 체제이지만 조종사 내부에서도 민간인 출신과 군인 출신이 보이지 않는 벽을 쌓고 있고 정비·승무·영업·공항 근무 등 업무 특성이 다른 일반직 노조도 갈라질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게다가 비정규직까지 노조를 결성할 수 있어 그야말로 '노조 만능'의 시대가 열릴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기업들은 대응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삼성은 전 계열사 노무인사 담당자들이 전문가가 돼야 한다는 판단에 따라 전원 노무사 자격증을 따도록 했다.

동국제강도 외부 노무 전문가를 초빙해 노무담당 직원들을 철저히 교육시키고 있으며 SK㈜는 노사협의회를 수시로 개최하는 등 복수노조 탄생을 막는 데 주력하고 있다.

한 대기업 관계자는 "사업장 내 여러 노조와는 대화로 문제를 푼다지만 노조끼리 이해관계를 달리하며 노·노 갈등을 빚을 경우 기업들은 속수무책"이라고 말했다.

○산별 교섭으로 임단협 장기화

올해 GM대우 등 자동차 4사와 현대하이스코 등 대형 사업장들이 속속 산별 노조로 전환함에 따라 내년부터는 산별 교섭이 더욱 강화될 전망이다.

특히 대형 사업장 위주인 금속노조의 경우 올해보다 교섭력이 더욱 커져 개별 기업들을 위협할 것으로 보인다.

현대차 등은 협회 등 사용자단체를 구성하고 공동 대응하는 한편 사업장별로도 비공식 협의를 통해 조속한 타결을 시도한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산별 교섭이 이뤄지더라도 각자 상황이 다른 개별 사업장별로 임단협을 따로 벌여 온 관행은 내년에도 달라지지 않을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협상 시기만 길어질 뿐 아니라 산별 교섭에서도 수만 명의 노조원을 갖춘 대형 사업장과 조합원 100명 수준의 조그마한 금속업체 등 기업 규모별로 단일한 요구안이 마련되기 어렵다는 점에서 기업들의 고민은 커지고 있다.

○노조 전임자 임금지급 금지 논란

내년 초부터 노조 전임자 임금 지급이 중단되는 것과 관련, 노동계에서는 "회사에서 기금을 내놓으라"며 벌써부터 압박하고 있다.

대우조선의 경우 현재 노조 전임자에게 지급되는 급여는 모두 12억~13억원에 달하는데 한 해 거두는 노조비가 13억원 정도에 불과해 벌써부터 논란이 되고 있다.

A항공 관계자는 "재정 자립을 위해 기금을 내놓고 이를 운용해 노조 전임자 급여로 하려면 수백억원을 내놔야 하는데 그럴 돈이 있다면 서비스 개선이나 투자에 쓰겠다"며 원칙대로 한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노조에서는 사무실 지원비를 늘려 달라든지,세습 고용을 허용하라는 등 다른 요구를 계속해 올 것으로 업계는 걱정하고 있다.

조일훈·정태웅 기자 ji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