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코스닥 시장의 투명성 문제가 다시 도마 위에 올랐습니다.

우회상장 과정에서 비공개 정보를 이용해 부당이득을 챙기는 사례는 물론, 잦은 사명변경과 최대주주 교체 등으로 기업의 정체성이 흔들리는 사례도 빈발하고 있습니다.

박병연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날이 갈수록 교묘해지는 증권 범죄와 도를 넘어서는 도덕 불감증으로 코스닥 시장이 위기를 맞고 있습니다.

자본시장의 꽃인 코스닥 시장이 신뢰를 상실하면서 외국인과 기관투자자들도 등을 돌려 단기차익을 노리는 개인들만의 반쪽짜리 시장으로 전락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

증권업계에 따르면 올 들어 코스닥 시장에 우회상장했거나 진행 중인 40여개 기업 가운데 무려 30여개사에서 미공개 정보 이용이나 시세조종 혐의가 발견됐고 대주주나 임원이 차명계좌를 통해 수억원의 부당이득을 챙긴 사례도 확인됐습니다.

그동안 우회상장의 문제점이 간간이 지적돼 왔지만 코스닥 시장의 도덕 불감증이 이정도 수준인줄은 몰랐다는 게 투자자들의 반응입니다.

기존 상장사들의 경우도 지나치게 자본차익을 추구하려는 경향 때문에 불필요하게 증자나 액면분할 등을 하는 사례가 잦고 회계부정이나 횡령, 주가조작 등 불법행위를 저지르는 일도 끊이질 않고 있습니다.

심지어는 사업상 한계에 부딪히면 대주주가 쉽게 회사를 팔아버리는 사례도 비일비재하고, 투자자들을 속이기 위해 사명을 자주 변경하거나 뚜렷한 핵심사업을 찾지 못하고 이것저것 손대다 낭패를 보는 사례도 적지 않은게 사실입니다.

또 최대주주 등의 독단적 경영이나 불법행위 등을 견제하기 위한 장치인 사외이사 제도도 코스닥 시장에선 유명무실화 되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입니다.

실제 지난 5월 이후 사외이사가 중도에 퇴임한 코스닥기업은 모두 58개 기업으로 지난달에만 26개 기업에서 사외이사가 중도에 하차했습니다.

이처럼 코스닥 시장에서 상식 이하의 불법행위와 부당행위가 자행되고 있지만, 이에 대한 규제는 솜방망이 수준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입니다.

주가조작이나 시세조종 등의 불법행위에 대한 법원의 판결이 있기까지 최소 2년이 걸리는 데다, 처벌수준도 고작 벌금형이나 집행유예 정도에 불과한 게 현실입니다.

코스닥 시장의 투명성 제고를 위해서는 기업인 스스로의 자정노력도 중요하지만, 철저한 사전 감시와 신속하고 강도 높은 처벌이 반드시 뒤따라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와우TV뉴스 박병연입니다.

박병연기자 bypark@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