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월 1일 현재 우리나라의 인구는 1년전보다 20만명 늘어난 4천850만명이며 90% 이상이 도시에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1일 건설교통부가 내놓은 `2006년도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연차보고서'에 따르면 2000년 인구주택 총조사 결과를 기초로 특별 추계한 결과 우리나라 인구는 7월 1일 현재 4천850만명, 도시화율은 90.2%(작년 기준)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는 2020년 4천997만명으로 정점을 이룬뒤 감소하기 시작, 2030년 4천933만명으로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다.

인구밀도는 ㎢당 487명으로 방글라데시, 대만에 이어 세계 3위이며 65세이상 고령화 인구 비율은 올해 9.5%로 지난해보다 0.4% 포인트 증가해 고형화 사회가 더욱 진전되고 있다고 건교부는 설명했다.

도시관리계획으로 결정된 용도지역은 총 10만6천114㎢(해수면 포함)이며 이중 도시지역은 경기가 3천131㎢, 관리지역은 경북이 4천650㎢, 농림지역은 경북이 1만1천565㎢, 자연환경보전지역은 강원이 1천902㎢로 가장 넓었다.

지목이 지정된 9만9천646㎢ 가운데 농경지는 2만1천216㎢(21.3%), 임야 6만4천805㎢(65%), 대지.공장용지.공공용지 등 도시적 용지 6천101㎢(6.1%) 순이었다.

국유지는 1만6천3㎢로 전 국토(9만9천890㎢)의 16.0%를 차지했으며, 공유지는 7천70㎢로 전국토의 7.1%였다.

그린벨트는 지난해 집단취락지역 380곳 등 32.4㎢가 해제돼 현재는 7개 대도시권에 4천41㎢가 남았다.

도로연장은 지난해보다 2천105㎞가 늘어난 10만2천293㎞이며, 도로포장율은 전년보다 0.7%p가 증가한 76.8%로 나타났다.

국토연차보고서는 건교부 홈페이지(www.moct.go.kr)를 통해 열람이 가능하다.

(서울연합뉴스) 유경수기자 yks@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