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규형 외교통상부 제2차관은 6일 최근 현안인 중국의 '동북공정'에 대해 "정부는 중국과의 역사문제에 대해 외교적으로 대응할 부분은 분명히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 차관은 이날 오전 시내 도렴동 외교부 청사에서 가진 내외신 정례브리핑에 참석, 모두발언에서 이같이 말하고 "새로 출범하게 될 '동북아역사재단' 등을 중심으로 한 체계적 연구를 통해 우리 민족의 역사에 관한 학술적 성과를 축적해나가는 노력을 병행해 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정부는 우리의 역사를 왜곡하거나 영토주권을 침해하는 어떤 사안에 대해서도 여타 사안과 연계시키지 않고 분명하고도 단호하게 대처해 왔으며 중국과의 역사문제도 예외가 아니다 "고 덧붙였다.

이 차관은 이어 문답을 통해 "동북아역사재단이 (문제가 된) 중국측 자료를 입수해서 분석하고 있고 그 내용이 정부측에 전달될 것"이라면서 "그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가 어떤 조치를 취할 지 검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는 "중국의 역사왜곡 문제에 대해 정부가 적극적으로 외교 대응하지 않는다는 취지의 보도는 사실과 다르다"고 강조했다.

이 차관은 "2004년 이 문제가 불거졌을 때 한중간 구두양해 사항이 체결됐으며 내용은 고구려사 문제가 현안으로 대두된데 대해 유념하고 양국관계가 손상되지 않도록 공동노력하는 것이었다"면서 "신화사 홈페이지 등 중앙정부 차원에서 왜곡사례로 보이는 것에 대해 지속적으로 시정조치했다"고 설명했다.

이 차관은 동북공정을 주도하는 중국 사회과학원(변강사지<邊疆史地>연구센터)에 대해 "성격은 국책 연구기관"이라며 "일반 사립 단체와 다르고 국가 공무원으로서 보통 학자와는 다른 신분이라고 생각된다"고 말했다.

그는 "다만 그 결과를 나름대로 정리해서 발표했을 때 그 성격을 어떻게 규정할 것이냐는 현실적으로 말하는 게 어렵다"고 말했다.

이 차관은 따라서 "총괄적으로 검토해서 (이번 사태에 대한) 대응 수위를 조정해야 한다는 말로 이해해달라"고 말했다.

송민순 청와대 안보정책실장의 방미와 관련, 이 차관은 "정상회담을 앞두고 대통령을 보좌하는 고위 인사간 사전 의견조율은 상례"라면서 "8월말과 9월 초에는 (협의할) 카운터파트가 부재했기 때문에 시일이 조금 늦어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차관은 이밖에 제14차 비동맹정상회의가 11~16일 쿠바 아바나에서 개최될 예정이라고 소개하고 자신이 수석대표로 참석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국은 1997년부터 비동맹정상회의와 각료회의에 빈객(guest) 자격으로 참가하고 있다.

이번 비동맹정상회의에는 114개의 비동맹 회원국과 18개 옵서버, 그리고 미국, 일본, 러시아 등 32개의 빈객국가들이 참가해 유엔 개혁문제 등을 포함한 국제현안과 팔레스타인 문제를 비롯한 지역현안, 개발과 인권 문제 등에 관해 논의할 예정이다.

(서울연합뉴스) 이우탁 이정진 기자 lwt@yna.co.krtransil@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