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결ㆍ하향 기업 14.6%에 그쳐
오락ㆍ서비스ㆍ건설ㆍ금융 `웃고'…통신ㆍ부동산ㆍ임대 `울상'

올해 평균 임금인상률이 5.1%를 기록해 작년보다 상승폭이 커지고 임금이 동결 또는 하향 조정된 기업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노동부에 따르면 올해 1∼8월 100인 이상 6천330개 기업 중 임금교섭이 타결된 곳은 2천755개로 43.5%의 타결률을 보여 작년 동기(43.7%)에 비해 타결률이 0.2%포인트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

임금교섭이 타결된 기업의 평균 협약임금인상률(임금총액기준)은 5.1%로 작년 같은 기간의 4.6%보다 0.5%포인트 높았다.

전반적인 임금 상승세로 인해 임금을 하향 또는 동결한 기업도 크게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임금을 하향(0.8%, 22개) 또는 동결(13.8%, 380개)한 기업은 402개로 임금교섭이 타결된 전체 기업의 14.6%에 불과했고 이는 작년 동기의 20.5%보다 5.9%포인트나 낮아진 것이다.

부문별로는 민간부문이 5.2%의 임금인상률을 보였고 공공부문은 3.4% 인상되는데 그쳐 평균치를 밑돌았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오락ㆍ문화 및 운동관련서비스업(6.2%)과 건설업(5.8%), 도매 및 소매업(5.8%), 금융 및 보험업(5.6%) 등의 임금인상률이 높았고 통신업(0.9%), 부동산 및 임대업(2.9%), 운수업(4.0%) 등은 비교적 낮았다.

규모별로는 100인∼299인, 500∼999인, 5천인 이상 사업장 등이 각각 5.4%의 인상률을 기록했고 300∼499인은 5.2%, 1천∼4천999인 사업장은 4.7%의 인상률을 보였다.

(서울연합뉴스) 현영복 기자 youngbok@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