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주택보급률이 90%에도 미치지 못해 주택난이 여전히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건설교통부가 지난해 인구주택총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시.도별 주택보급률을 조사한 결과 서울의 주택수는 232만1천900채로 총 가구수 258만7천500가구 대비 주택보급률이 89.7%에 불과했다.

이는 2000년 센서스조사때 보급률 77.4%(주택 197만3천200채, 254만8천100가구)에 비해서는 8.9%포인트 높아진 것이나 주택보급률 적정선(120-130%)에는 크게 못미쳐 당분간 서울의 주택부족은 쉽게 해소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주택보급률은 주택 수를 보통가구(혈연가구) 수로 나눈 뒤 100을 곱한 것으로 주택수는 다가구를 1주택으로 계산하고 빈집을 포함해 산정된다.

보통가구는 총 가구에서 1인, 비혈연, 외국인, 집단거주 등 가구를 뺀 것이다.

경기도도 주택이 273만6천200채로 가구수 271만5천700가구를 조금 넘는 정도(100.8%)여서 그간 용인, 파주, 하남, 화성 등 곳곳에서의 택지개발사업에도 불구, 적정 수준에 미달했다.

수도권 주택보급률은 인천(107.6%)을 포함, 주택 578만1천800채, 597만5천700가구로 96.8%의 보급률을 기록, 5년전(86.1%)보다 10.7%포인트 늘었지만 여전히 100%를 넘지는 못한 모습이었다.

이외에 주택보급률이 낮은 곳은 대구(92.5%), 울산(99.7%), 부산(101.4%), 대전(102%), 광주(103.2%) 등 대도시권이었다.

전국에서 주택보급률이 가장 높은 곳은 전남으로 135.5%에 달했으며 충남(129.1%), 강원(126.8%), 경북(126%), 전북(125.5%), 충북(119.8%), 경남(115.8%), 제주(111.1%) 등도 적정선을 넘거나 육박했다.

건교부 관계자는 "보급률 통계에는 최근 크게 늘고 있는 1인가구, 외국인가구 등이 빠져 있고 다가구 주택을 정상주택에서 제외하는 등 다소 현실성이 떨어져 좀 더 통계의 정확성을 기하기 위해 새로운 통계방법을 연내에 만들 계획"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유경수기자 yks@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