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정상회담을 전후로 대북제재를 둘러싼 양국 외교당국 간 접촉 내용에 대해 청와대와 주미대사관이 상반된 발언을 해 혼선이 빚어지고 있다.

주미대사관 고위 관계자는 18일(현지시간) 현지 특파원과의 간담회에서 "노무현 대통령이 정상회담 하루 전인 13일 헨리 폴슨 재무장관 접견 때 방코델타아시아(BDA)은행 조사가 너무 지체되는 바람에 6자회담 재개에 부정적이라며 조속한 조사 완료를 요청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북한의 미사일 시험 발사 이후 미국이 검토 중인 대북 제재조치가 6자회담 재개에 걸림돌이 될 우려가 있다면서 추가 제재 조치를 유예해 줄 것을 요구했다고 밝혔다.

청와대는 그러나 이에 대해 사실무근이라며 즉각 부인했다.

윤태영 대변인은 "노 대통령은 폴슨 재무장관 접견 때 미국의 법집행과 북핵문제 해결을 위한 6자회담 재개노력이 조화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언급을 했지만 BDA 조사의 조기종료를 요청한 적이 없다"고 부인했다.

또 "정부가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미국측에 대북 추가제재 유예요청을 한 적도 없다"고 반박했다.

이심기 기자 s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