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대철 "중요한 장면서 빠져야"
고건 "與 중도통합신당론 주시"


열린우리당 안팎에서 내년 대선에 대비한 정계개편 구도와 관련,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의 참여를 배제한 중도개혁세력 중심의 통합신당론이 제기돼 주목된다.

이는 그간 열린우리당과 `운명'을 같이 하겠다는 취지의 언급을 자주 해 온 노 대통령의 임기말 탈당을 재촉하는 직.간접적인 압박이 될 수도 있어 향후 정계개편 논의과정에서 중대한 화두로 등장할 개연성이 커보인다.

우리당 정대철(鄭大哲) 상임고문은 27일 대통합 논의와 관련, 노 대통령의 임기 이후 벌어질 정치상황을 전제로 한 정계개편을 염두에 둔다면 노 대통령은 적극적인 장면에서는 빠져야 한다는 취지로 자신의 정치권 새판짜기 구상을 밝혔다.

노 대통령 입장에서는 어차피 퇴임후 정치활동을 적극적으로 할 수 있는 상황이 조성되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대선을 앞둔 정계개편 과정에서는 비켜나 있는게 낫다는 얘기이다.

정 고문은 또 "우리당은 원 오브 뎀(one of them)이 되는게 바람직하다"며 현 여당 주도의 통합에 부정적인 견해를 밝힌 뒤 열린우리당, 민주당, 국민중심당, 고 건(高 建) 전 총리 모임은 물론, 한나라당 일부 세력까지를 한 우산 속에 끌어모으는 `그랜드 디자인'까지 내비쳤다.

노 대통령에게 반감을 갖고 있는 구성인자들까지 한데 묶기 위해서는 노 대통령이 자연스럽게 정계개편의 무대에서 내려와 있는게 바람직하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진다.

이에 화답하기라도 하듯 고 전 총리 역시 이날 전주 전북대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노 대통령의 참여 문제에 대해서는 즉답을 피하면서도 "열린우리당 내에서 이야기되고 있는 중도통합 신당론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갖고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정 고문과 고 전 총리의 입장은 통합론을 주장해온 여당내 상당수 초.재선 의원들의 공감을 얻고 있고, 민주당은 진작부터 이런 구상을 보듬어왔다는 점에서 어느 정도 실현 가능성이 점쳐지기도 한다.

그러나 이들의 구상은 정계개편 과정에서의 노 대통령의 위치와 역할에 대한 착점이 여당내 다른 통합론자들과는 차이를 보이고 있어 통합방법론을 둘러싼 진통을 예고하고 있다.

여당내 통합론자인 한 중진의원은 최근 기자들과 만나 "노 대통령과 같이 갈 것이냐 아니면 떼버리고 갈 것이냐가 최대 관건이 될 것인데 나는 일단 같이 가야 한다고 본다"며 "노 대통령을 버리는 것은 비호남 민주세력을 버리는 결과가 될 것이고, 500만표가 왔다갔다 한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면서 "노 대통령은 결코 자기 자신을 위해서 전체 세력을 위험에 빠뜨릴 사람이 아니다"고 말해 의도적인 차별화보다는 노 대통령의 최종 선택에 위임하는 쪽이 바람직하다는 견해를 밝혔다.

`제3지대론'을 주장해온 염동연(廉東淵) 의원도 최근 사석에서 우리당의 틀을 벗어난 제3의 지대에 신당을 만들자면서도 노 대통령뿐만 아니라 참정연 등 여당내의 혁신세력까지 모두 끌어안고 가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서울연합뉴스) 맹찬형 기자 mangels@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