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분양원가 전면 공개 방침에 대해 시민단체와 건설업계의 입장이 팽팽히 대립하고 있는 가운데 네티즌들의 반응도 서로 엇갈리고 있다.

집값 안정을 위해 필요하다며 찬성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원가 공개 이후 부작용 등을 우려해 반대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29일 아이디 '0909'를 사용하는 한 네티즌은 인터넷 댓글을 통해 "(분양원가 공개를) 벌써 했으면 부동산 가격이 이렇게 안올랐을 것"이라며 "이제라도 해서 다행이다.

공공, 민간할 것 없이 공개해야 한다"며 원가 공개를 찬성했다.

또 아이디 'hs8551'은 "그동안 토공과 주공은 땅짚고 헤엄치기식 장사로 그 집단의 이익만 추구했다.

신규 아파트 고분양가는 건설회사의 폭리도 있겠지만 토공이나 주공의 폭리도 엄청난 것"이라며 "아파트 분양원가 공개는 국민의 바람이며, 토지조성 원가를 공개해 싼값에 건설사에 공급하면 건설사들도 폭리는 못 취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네티즌 'cjoh422'는 또 "늦었지만 다행스런 일"이라며 "이제 제 3자가 가장 객관적으로 원가를 계산할 수 있도록 하여 뻥뛰기 원가를 조심해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원가공개를 반대하는 의견도 만만치 않다.

아이디 'saebaso'는 "솔직히 분양원가 공개 이후가 걱정된다"며 "(원가공개로) 집값이 떨어진다면 좋겠지만 원가 다 알려주고 장사하라면 민간 건설사들이 적극적으로 집을 지으려고 할까.

정부에서 공공분양을 늘리려고 국고를 무리하게 사용한다면 이건 또 (국민의) 세금으로 메울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아이디 'ksman747'은 '분양원가 검증은 누가하나?'라는 댓글을 통해 "건설회사의 분양원가는 사전에 공무원의 의뢰적인 절차로 끝날 뿐 건설회사들의 원가조작과 공무원과의 새로운 부패 연결고리만 발생된다"며 "주공에서 원가공개를 하는 것은 당연하지만 민간부문에서의 원가공개는 시장주의 원칙에서 볼때 많은 문제점이 발생될 것으로 예상돼 반대한다"고 말했다.

노무현 대통령과 정부의 분양원가 공개가 정치 논리로 접근하는 게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한 네티즌은 "한나라당 출신 오세훈 서울시장이 후분양으로 치고 나오니까 대통령이 분양원가 공개로 응수하는 격"이라며 "분양가를 놓고 정치쟁점화 하지 말고 정말 국가를 위해 필요한 정책이 무엇인지 신중히 따져보라"고 꼬집었다.

(서울연합뉴스) 서미숙 기자 sms@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