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우리당은 2일 내년 대통령 선거 후보를 100% 국민이 참여하는 '오픈 프라이머리'(완전 개방형 국민경선제) 방식으로 선출하기로 최종 확정했다.

우상호 대변인은 이날 비상대책위 회의 브리핑을 통해 "지역별 순회 당원 토론회를 통해 의견 수렴을 한 결과 대다수가 100% 국민 참여 경선 방식을 지지했다"고 밝혔다.

◆어떤 내용 담고 있나

오픈 프라이머리는 정당이 후보 선출용 예비선거(프라이머리) 투표권을 당원이 아닌 일반국민에게도 개방하는 것이다.

당원이 아닌 일반국민도 정당의 대통령 후보에 입후보하거나 투표에 참가할 수 있다.

열린우리당은 당내 태스크포스(TF)를 중심으로 세부 방안을 결정하는 한편 오픈 프라이머리 도입을 위한 선거법과 당헌당규 개정을 추진할 계획이다.

TF 간사인 백원우 의원은 "옥외경선 허용 등 선거법 일부 조항의 개정을 검토하고 있다"며 "이들 조항은 법 개정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경선을 안정적으로 운영한다는 차원에서 검토 대상"이라고 말했다.

오픈 프라이머리 도입이 확정됨에 따라 제도 시행을 위한 '당원의 참여 비율'과 '지역별 선거인 수'가 향후 논의의 주요 쟁점이 될 전망이다.

열린우리당 당헌은 대선후보 선출 시 선거인단을 '기간당원 30%,일반당원 20%,일반국민 50%'로 구성토록 규정하고 있고,피선거권자를 기간당원으로만 정해 이 부분에 대한 개정이 불가피하다.

또 지역별 지지도에 따라 인구 대비 국민 참여 비율이 달라 지역별로 표심이 왜곡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제3후보' 참여 할까

열린우리당이 도입하려고 하는 오픈 프라이머리의 성공 여부는 고건 전 총리 등 '제3후보' 참여 여부에 달려 있다.

한나라당과는 달리 두드러진 대권 후보가 없는 여당으로서는 오픈 프라이머리를 십분 활용해 국민적 관심을 끌어내야 하기 때문이다. 당내 대선 주자들만이 참여할 경우 흥행 실패는 불을 보듯 뻔하다.

범 여권 후보로 꼽히는 고건 전 총리는 일단 오픈 프라이머리에 관심을 갖고 있다.

이 제도에서는 여론조사 지지율이 높은 사람이 절대적으로 유리한 만큼 지지율이 20% 안팎인 고 전 총리는 2~3%대에 머물고 있는 다른 여권 후보들에 비해 유리한 상황이다.

고 전 총리는 "기존 정당의 경선에는 참여하지 않을 것이지만 만약 신당의 오픈 프라이머리라면 검토해볼 수 있다"는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또 다른 후보로 여당이 기대하는 정운찬 전 서울대 총장과 박원순 변호사는 참여 자체를 고사하고 있다.

정 전 총장은 최근 한 인터뷰에서 "내 이름을 거론하지 말라"고 못박았다.

강동균 기자 kd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