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묘문화에 대한 인식이 바뀌면서 지난해 처음으로 장사를 지내면서 화장처리한 건수가 매장 건수를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다.

2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지난해 사망자 24만3886명 중 화장 처리된 인원은 12만8251명으로 52.6%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도(2004년)의 49.2%에 비해 3.4%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화장률은 1970년 10.7%에 불과했으나 △2001년 38.3% △2002년 42.5% △2003년 46.4% 등으로 매년 꾸준한 상승세를 타다 지난해 처음으로 매장률을 앞섰다.

지역별로는 △부산(74.8%) △인천(69%) △서울(64.9%) 등 대도시가 높았고 △전남(27.2%) △충북(29.7%) 등 지방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경북(43.3%)과 전북(39.5%)지역의 경우는 전년도에 비해 화장률이 각각 5.9%,4.7%포인트 증가했다.

농촌지역의 경우 묘지를 확보하기가 상대적으로 쉬운 데다 노령 인구가 많아 매장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복지부는 이런 추세라면 2010년께 화장률이 70%에 달할 것으로 내다보고 화장시설 신·증설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이를 위해 지역마다 화장 수요를 자체 총족할 수 있도록 화장시설 설치를 의무화하고,한 지역 주민이 다른 지역의 화장시설을 이용할 땐 화장요금을 더 내도록 해 수익금을 복지사업에 쓸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추진키로 했다.

또 내년 중 45억원의 예산을 확충해 화장시설을 늘리고 기존 화장로의 성능 강화 등을 지원키로 했다.

복지부 관계자는 "현재 운영 중인 화장시설은 46곳에 불과한 데다 모두 공공시설"이라며 "특히 수도권 화장시설의 경우 1일 적정 처리 건수를 초과해 운영되는 바람에 타 지역 화장시설을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밝혔다.

박수진 기자 notwom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