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핵실험을 강행하겠다고 3일 공식 발표,지난 7월 북한 미사일 시험발사에 이어 촉발된 한반도 긴장감이 더욱 고조되고 있다.

정부는 즉각 북핵 불용(不容)의 원칙을 재강조하면서 엄중 대응할 방침임을 밝혔다.

북한 외무성은 이날 오후 6시 성명을 내고 "앞으로 안전성이 철저히 담보된 핵시험(실험)을 하게 된다"며 핵 실험 계획을 처음으로 천명했다.

외무성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절대로 핵무기를 먼저 사용하지 않을 것이며 핵무기를 통한 위협과 핵이전을 철저히 불허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조선반도의 비핵화를 실현하고 세계적인 핵군축과 핵무기 철폐를 추동하기 위해 백방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외무성은 "미국의 반(反) 공화국 고립압살책동이 극한점을 넘어서 최악의 상황을 몰아오고 있는 이 같은 정세에서 우리는 더 이상 사태발전을 수수방관할 수 없게 되었다"고 주장,핵무기 실험이 자위적 차원임을 강조했다.

북한은 그러나 핵실험의 구체적 시점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또 "대화와 협상을 통하여 조선반도의 비핵화를 실현하려는 우리의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며 "우리의 최종 목표는 조(북)·미 적대관계를 청산하고 한반도의 모든 핵위협을 근원적으로 제거하는 비핵화"라고 주장,이날 성명이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미국,일본의 전향적 태도변화를 촉구하는 데 있음을 시사했다.

정부는 이날 저녁 외교안보수석과 국정원,외교부,국방부 등 관계부처 차관급 인사들이 참석한 고위대책회의를 열고 대책마련에 착수했다.

정부는 우선 북한의 핵실험 징후를 탐지,포착하기 위한 경보조치를 가동한 데 이어 중국 등 관련국들과의 협의에 착수했다.4일 오전에는 관련 부처 장관이 참석하는 안보정책 조정회의를 소집키로 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정부는 북핵 불용의 원칙에 입각,이번 사태에 대처할 것"이라며 "북에 대해 심각한 유감을 표명하지 않을 수 없다"고 밝혔다.

노무현 대통령은 지난달 14일 한·미 정상회담에서 "북한이 핵실험을 하게 될 경우 이제와는 전혀 다른 상황이 전개된다"고 밝힌 바 있다.

북한은 1993년 핵확산금지조약(NPT)에서 탈퇴한 후 파키스탄에서 우라늄 농축에 필수적인 원심 분리기 기술을 지원받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현재 최대 5∼10개의 핵무기를 만들 수 있는 플루토늄을 가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무기화 전 단계인 우라늄 재처리까지 끝냈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심기·정지영 기자 co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