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평채 해외발행 연기] 기업ㆍ은행 차입에도 영향 불가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외평채 해외발행 연기] 기업ㆍ은행 차입에도 영향 불가피
북한의 핵실험 파장으로 국내 기업들의 해외자금 조달 전선에 빨간불이 켜졌다.
당장 정부가 이달 말 예정했던 외화표시 외국환평형기금채권(외평채)의 해외 발행을 전격 연기함에 따라 국내 기업들과 금융회사 등의 외화차입에도 차질이 우려된다.
문제는 이 같은 사태가 장기화되거나 더욱 악화될 경우 기업들의 해외 자금 조달과 운용에 심각한 장애가 생길 수 있다는 점이다.
물론 현재 외환보유액이 2000억달러를 넘기 때문에 기업과 금융회사들이 외화난을 걱정할 상황은 아니다.
하지만 1997년 외환위기 때 해외 채권단의 무분별한 채권회수의 악몽을 맛보았던 터라 관련 기업들은 긴장을 풀지 못하고 있다.
○금융회사 해외차입에 '빨간불'
올해 말까지 해외 차입을 계획하고 있는 금융회사는 산업은행 등 4~5곳이다.
이들 금융회사는 만기도래 외채 상환용이나 국내 외화대출 등을 위해 해외 차입을 추진해왔다.
그러나 북한 핵실험 사태로 외국 투자자들의 투자심리가 불안해져 해외 차입시기를 정하지 못한 채 전전긍긍하고 있다.
산업은행은 올해 총 36억달러를 조달할 계획이었다.
이 중 21억달러를 지난달 말까지 차입했다.
앞으로 연말까지 15억달러를 추가로 조달해야 한다.
하지만 북핵 사태로 해외투자자들의 상황이 유동적이어서 조달 시기와 물량을 확정하지 못하고 있다.
산은 관계자는 "필요자금을 조달하지 못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면서도 "하지만 금리 등 조건이 나빠질 가능성은 있다"고 우려했다.
국민은행도 지난달 초 총 2억5000만달러의 외화자금 차입을 완료한 이후 올해 안에 추가로 3억~5억달러를 더 빌릴 예정이었다.
하지만 돌출한 북핵 사태로 차입계획을 세우지 못하고 상황을 지켜보고만 있다.
기업은행 역시 금년 말 만기가 돌아오는 3억달러를 상환하기 위해 그만큼의 돈을 재차입할 계획이다.
그러나 재차입을 하지않더라도 상환여유자금이 있어 큰 문제는 없다고 관계자는 밝혔다.
○기업들 "분위기 심상치 않다"
기업들도 북핵 사태에 따른 국제 금융시장의 동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지난 10일 북한의 핵실험 발표 이후 주요 기업들은 미국 뉴욕의 현지 직원들을 통해 국제금융시장 움직임을 수시로 챙기고 있다.
한 관계자는 "뉴욕에서 파악되고 있는 분위기는 '뭔가 심상치 않게 돌아간다'는 쪽"이라며 "당장은 큰 변화가 없지만 한국기업의 증권이나 채권을 거래하는 펀드들의 움직임이 조금씩 둔해지고 있다"고 전했다.
이대로 한국물의 거래가 뜸해지고 관망세가 짙어지면 가산금리가 치솟을 수밖에 없다는 우려감도 나오고 있다.
10대 그룹의 한 관계자는 "현지 펀드매니저들이 가장 싫어하는 것이 한반도의 지정학적 리스크"라며 "한국의 우량기업 채권을 선호하는 이들도 핵 얘기만 나오면 손을 젓는다고 한다"고 말했다.
여기에 북핵 사태로 야기된 '지정학적 리스크'가 단시일 내 해소될 것 같지도 않다는 점이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LG전자 포스코 등의 기업들이 해외투자에 필요한 자금의 상당분을 해외에서 조달하고 있는 상황에선 특히 그렇다.
모 은행 채권 딜러는 "해외 기관투자가들은 북한의 핵실험을 완결된 행위로 보는 것이 아니라,그 자체를 하나의 불확실성으로 받아들이고 있다"며 "연말 연초에 해외 자금조달을 계획하고 있는 기업들은 사태 추이를 예의 주시해야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차병석·조일훈·유병연 기자chabs@hankyung.com
당장 정부가 이달 말 예정했던 외화표시 외국환평형기금채권(외평채)의 해외 발행을 전격 연기함에 따라 국내 기업들과 금융회사 등의 외화차입에도 차질이 우려된다.
문제는 이 같은 사태가 장기화되거나 더욱 악화될 경우 기업들의 해외 자금 조달과 운용에 심각한 장애가 생길 수 있다는 점이다.
물론 현재 외환보유액이 2000억달러를 넘기 때문에 기업과 금융회사들이 외화난을 걱정할 상황은 아니다.
하지만 1997년 외환위기 때 해외 채권단의 무분별한 채권회수의 악몽을 맛보았던 터라 관련 기업들은 긴장을 풀지 못하고 있다.
○금융회사 해외차입에 '빨간불'
올해 말까지 해외 차입을 계획하고 있는 금융회사는 산업은행 등 4~5곳이다.
이들 금융회사는 만기도래 외채 상환용이나 국내 외화대출 등을 위해 해외 차입을 추진해왔다.
그러나 북한 핵실험 사태로 외국 투자자들의 투자심리가 불안해져 해외 차입시기를 정하지 못한 채 전전긍긍하고 있다.
산업은행은 올해 총 36억달러를 조달할 계획이었다.
이 중 21억달러를 지난달 말까지 차입했다.
앞으로 연말까지 15억달러를 추가로 조달해야 한다.
하지만 북핵 사태로 해외투자자들의 상황이 유동적이어서 조달 시기와 물량을 확정하지 못하고 있다.
산은 관계자는 "필요자금을 조달하지 못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면서도 "하지만 금리 등 조건이 나빠질 가능성은 있다"고 우려했다.
국민은행도 지난달 초 총 2억5000만달러의 외화자금 차입을 완료한 이후 올해 안에 추가로 3억~5억달러를 더 빌릴 예정이었다.
하지만 돌출한 북핵 사태로 차입계획을 세우지 못하고 상황을 지켜보고만 있다.
기업은행 역시 금년 말 만기가 돌아오는 3억달러를 상환하기 위해 그만큼의 돈을 재차입할 계획이다.
그러나 재차입을 하지않더라도 상환여유자금이 있어 큰 문제는 없다고 관계자는 밝혔다.
○기업들 "분위기 심상치 않다"
기업들도 북핵 사태에 따른 국제 금융시장의 동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지난 10일 북한의 핵실험 발표 이후 주요 기업들은 미국 뉴욕의 현지 직원들을 통해 국제금융시장 움직임을 수시로 챙기고 있다.
한 관계자는 "뉴욕에서 파악되고 있는 분위기는 '뭔가 심상치 않게 돌아간다'는 쪽"이라며 "당장은 큰 변화가 없지만 한국기업의 증권이나 채권을 거래하는 펀드들의 움직임이 조금씩 둔해지고 있다"고 전했다.
이대로 한국물의 거래가 뜸해지고 관망세가 짙어지면 가산금리가 치솟을 수밖에 없다는 우려감도 나오고 있다.
10대 그룹의 한 관계자는 "현지 펀드매니저들이 가장 싫어하는 것이 한반도의 지정학적 리스크"라며 "한국의 우량기업 채권을 선호하는 이들도 핵 얘기만 나오면 손을 젓는다고 한다"고 말했다.
여기에 북핵 사태로 야기된 '지정학적 리스크'가 단시일 내 해소될 것 같지도 않다는 점이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LG전자 포스코 등의 기업들이 해외투자에 필요한 자금의 상당분을 해외에서 조달하고 있는 상황에선 특히 그렇다.
모 은행 채권 딜러는 "해외 기관투자가들은 북한의 핵실험을 완결된 행위로 보는 것이 아니라,그 자체를 하나의 불확실성으로 받아들이고 있다"며 "연말 연초에 해외 자금조달을 계획하고 있는 기업들은 사태 추이를 예의 주시해야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차병석·조일훈·유병연 기자chab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