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상황악화 일체행동 중지하고 6자회담 복귀해야"
"대화 통한 평화적 해결, 한반도비핵화 원칙 재확인"

노무현(盧武鉉) 대통령과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국가주석은 13일 북한 핵실험에 따른 국제사회의 공동 조치로서 유엔 안보리가 필요하고도 적절한 대응조치를 취하는 것을 지지한다는데 합의하고, 북한이 상황을 악화시키는 일체의 행동을 중지하고 6자회담에 복귀할 것을 촉구했다.

노 대통령과 후 주석은 이날 낮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가진 한중 정상회담에서 이같이 의견을 모으고 북한 핵문제를 대화를 통해 평화적으로 해결하며, 한반도의 안정적 비핵화가 무엇보다도 긴요하다는데 인식을 같이 했다고 송민순(宋旻淳) 청와대 안보실장이 전했다.

양 정상은 이와 함께 북한 핵실험을 확고히 반대하고 이를 용납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재확인하고, 북한이 한반도 비핵화 약속을 준수해야 한다는 점을 거듭 확인했다.

노 대통령과 후 주석은 그동안 6자회담 과정에서 중국이 회담 개최국으로서 보여준 주도적 역할과 한국의 창의적이고 적극적인 역할을 상호 평가하고, 이에 기초해 양국은 북핵문제를 조기에 해결하는데 필요한 외교적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공동노력을 경주키로 했으며, 앞으로 고위 실무선의 협력을 강화하기로 합의했다.

송민순 실장은 브리핑을 통해 "오늘 오전 11시부터 12시5분까지 진행된 단독정상회담에서 주로 북한 핵문제, 특히 북핵 실험 이후 상황에 대한 평가를 서로 비교하고, 앞으로 이 문제에 대해 어떻게 대처해 나갈 것인지에 대해 협의했다"고 밝혔다.

송 실장은 "유엔 안보리 결의안의 구체 내용에 대해서는 양 정상이 논의하지 않았다"며 "다만, 이것이 한반도 비핵화를 안정적으로 이뤄나가는데 필요하고도 적절한 조치, 특히 북한이 이번에 행한 핵실험을 수용할 수 없고, 반대한다는 기본원칙에 맞는 대응조치를 환영하고 지지한다는 원칙적 합의를 했다"고 말했다.

송 실장은 유엔 안보리 차원의 필요하고도 적절한 조치의 내용과 관련, "정상차원에서 무엇이 필요하고 무엇이 적절한지 세부사항에 대해서는 논의하지 않았다"며 "앞으로 양국간 협의할 수 있는 틀의 수준을 그 정도로 정해놓고 협력하며, 유엔을 통한 조치나 개별 조치가 실제로 비핵화를 조기에 이루는데 어느 정도 효과를 볼지에 대해 후속 협의가 있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베이징연합뉴스) 성기홍 이상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