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유엔 안보리의 대북 결의안 채택 이후 미국이 주도하는 국제사회의 분위기가 북한에 대한 강경압박 일변도로 진행되는 것을 막기 위해 중국 러시아와 외교적 보조를 맞추고 있다.

노무현 대통령은 16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전화통화를 갖고 북핵문제 해결 및 유엔 결의안에 따른 후속 조치와 관련한 양국의 입장을 조율했다.

노 대통령은 이로써 북핵 실험 발표 이후 미·일·중·러 등 북한을 제외한 6자회담 당사국 정상들과 모두 접촉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날 전화통화는 우리측 요청에 따라 이뤄졌다"며 "원래 이보다 빨리 전화통화를 가질 예정이었으나 양 정상 간의 일정 조정문제로 인해 한·중 정상회담 이후로 미뤄졌다"고 말했다.

노 대통령은 또 17일 방한하는 미하일 프라드코프 러시아 총리를 접견,북핵 문제에 대한 의견을 교환할 예정이다.

지난 13일 한·중 정상회담과 이날 한·러 정상 간의 전화접촉은 유엔 안보리의 대북 결의안 채택을 전후해 이뤄진 것으로 안보리 결의안이 북한을 자극,한반도 주변의 위기상황 고조라는 사태로 이어지는 것을 막기 위한 외교적 '완충 역할'이 필요하다는 정부의 판단에 따른 것으로 해석된다.

이와 관련,윤태영 청와대 대변인은 16일 "제재는 문제를 풀어나가기 위한 것으로 북한을 대화의 테이블로 나오게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며 정부의 대응기조를 공식화했다.

그는 이어 "정부는 북한의 미사일 발사 이후 쌀과 비료 지원도 중단했고 개성공단 사업의 추가 분양도 지금 유보했다"며 "이것이 우리가 할 수 있는 강력한 제재 중 하나라는 사실을 다시 한번 상기해주기 바란다"고 밝혔다.

이는 북한의 핵실험 발표 이후 정부가 일관되게 강조해온 '효과지향적인 제재방식'을 다시 한번 강조한 것으로 '대북 응징'이라는 상징적 의미만을 갖는 감정적 대응은 하지 않겠다는 정부 입장을 분명히 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심기 기자 s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