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라크전 주도자에서 `희생양' 전락한 네오콘 핵심

중간선거 패배의 후폭풍에 휩쓸려 끝내 물러난 도널드 럼즈펠드 미 국방장관(74)은 하원의원, 백악관 비서실장, 대사, 국방장관, 기업 총수 등 더없이 화려한 길을 걸으며 미국 사회를 움직여온 대표적인 `네오콘(신보수주의자)' 핵심 인물이다.

1932년 시카고에서 부동산업자의 아들로 태어난 그는 프린스턴대 정치학과를 졸업한뒤 해군 복무를 거쳐 미 하원의원 보좌관으로 정계에 첫 발을 디뎠으며, 1962년 불과 30세의 나이에 일리노이주에서 하원으로 당선된뒤 연거푸 4선에 성공했다.

그는 1969년 리처드 닉슨 행정부가 출범하면서 백악관에 입성, 대통령 보좌관을 지낸뒤 73-74년 나토(북대서양조약기구) 주재 대사로 일했다.

이어 제럴드 포드 대통령이 들어서자 비서실장으로 중용된뒤 1975년 43세의 나이로 미 역사상 최연소 국방장관에 올랐다.

럼즈펠드와 함께 네오콘의 대표주자로 꼽히는 딕 체니 부통령과의 두터운 인연도 비서실장 시절 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포드 낙선 이후 그는 민간기업 총수로 경영에 참여했으나 로널드 레이건 행정부에서 중동특사로 활동하고 1996년 대선 때는 공화당 밥 돌 후보의 선거를 돕는 등 워싱턴 정가와의 끈을 계속 유지해왔다.

그는 1998년엔 이른바 '럼즈펠드 보고서' 를 발표, 중국과 러시아는 물론 북한, 이라크 등 불량국가들의 미사일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 '국가미사일방위' 체제를 구축해야 한다고 주창하기도 했다.

2001년 조지 부시 행정부가 출범하자 그는 두번째 국방장관직을 맡으며, 아프가니스탄과 이라크 2개 전쟁을 기획하고 이끌었다.

그는 개전 초기부터 이라크전 정보 왜곡 등에 관여했다는 의혹에 휩싸였으며, 아부 그라이브 포로학대 파문이 일면서 끊임없이 사퇴 압박을 받아왔다.

그는 특히 부시 행정부 1기 국무장관을 지낸 콜린 파월의 업무에 간섭하는 등 미국 정부 내 불화를 야기한 장본인으로 지목됐으나 파월이 물러난 것과는 달리 2기 행정부에서도 국방장관으로 남아 이라크 전쟁을 주도했다.

이라크 전쟁이 당초 장담과는 달리 장기 수렁에 빠지면서 내전 상황으로 치닫자 그가 이라크 정책을 잘못 이끌었다는 비난과 사퇴 압력도 더욱 고조됐다.

이에 따라 로라 부시 여사를 비롯한 백악관 내 인사들까지 그의 경질을 건의한 것으로 전해졌으나 부시 대통령은 최근까지도 그와 임기를 함께하겠다며 변함없는 신임을 표명하곤 했다.

하지만 이라크 문제가 주요 이슈가 된 중간선거에서 공화당이 참패하면서 그는 책임을 지고 물러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을 맞았으며, 그는 이라크 전쟁의 주도자이자 결국 '희생양'으로 기록되게 됐다.

그는 아프간과 이라크 전쟁을 동시에 이끄는 한편으로 미군 개혁 작업을 펼쳐왔으며, 주한 미군 재배치와 재편 등 한미간 주요 군사현안들도 그의 지휘 아래 처리됐다.

그는 명암이 교차하는 한반도의 야간 위성사진을 자신의 집무실 책상 위에 비치해놓고, 민주주의의 위대함을 되새긴다고 자주 말하곤 했다.

(워싱턴연합뉴스) 이기창 특파원 lkc@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