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행정부 내의 대표적인 네오콘(신보수주의자)인 럼즈펠드 국방장관이 경질됨에 따라 이라크정책은 물론 대북정책에도 상당한 변화가 있을 전망이다.

조지 W 부시 대통령은 8일(현지시간) 럼즈펠드 장관을 경질하면서 "이번 선거에서 많은 미국인들이 이라크 사태에 대한 불만을 표시한 것으로 이해한다"고 밝혀 이라크정책의 변화 가능성을 시사했다.

민주당은 그동안 미군의 조기철군을 요구했다.

그러나 부시 대통령이 무조건적인 철군에 반대하는 점을 감안하면 전면 철군이 당장 실현되긴 힘들다.

대안으로 거론되는 것이 감군(減軍)이다.

이라크 치안 유지의 주임무를 이라크군에 이전하는 방식으로 이라크에 주둔하는 미군 중 일부를 철수한다는 시나리오다.

렉싱톤 연구소의 로렌 톰슨은 "현재 15만2000여명인 미군을 줄이는 것은 불가피하다"며 "남은 관심은 감군 스케줄"이라고 내다봤다.

이라크를 3개 국가로 쪼개는 방안도 거론된다.

상원 국제관계위원장으로 유력한 민주당의 조셉 바이든 의원 등은 "이라크를 수니파와 시아파 쿠르드족 등 3개국으로 독립시키는 방안도 이라크 문제를 푸는 해법"이라고 말했다.

대북정책을 포함한 한반도 정책도 변화가 있을 전망이다.

럼즈펠드 장관은 그동안 주한미군 철수 및 재배치,전시작전권 환수문제,북핵문제 대응 등을 주도해 왔다.

딕 체니 부통령과 함께 한반도 강경책을 주도했던 '매파'의 핵심이었다. 이 진영의 세력 약화로 대화를 통한 해법을 강조하는 비둘기파들의 목소리가 커질 공산이 크다.

부인 힐러리 클린턴의 뉴욕주 상원의원 재선 성공으로 승리의 축배를 함께 든 클린턴 전 대통령은 선거 직후 "부시 행정부가 북한과 대화를 끊고 북한을 고립시키려 한 것은 잘못된 정책"이라고 비판,민주당이 주도하는 의회가 행정부에 어떤 압력을 넣을 것인지를 가늠케했다.

그는 "대화채널만 열면 북한 핵문제는 1년 안에 해결 가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이달 하순으로 전망되는 6자회담부터 미국의 태도가 신축적이면서도 적극적으로 돌아설 가능성도 존재한다.

아울러 6자회담이 교착 상태에 빠질 경우 양자회담을 강조하는 민주당이 목소리를 높일 것으로 보인다.

뉴욕=하영춘 특파원 hayo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