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계층이 보유한 금융 자산의 양극화에 따른 부작용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서민 금융업의 활성화가 절실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중견 경제·경영학자들의 모임인 국가경쟁력플랫폼(대표 김광두 서강대 교수)이 지난 5일 한국경제신문사 영상회의실에서 개최한 '금융자산 소유구조의 문제점과 대책' 세미나에서 금융연구원 이명활 연구위원은 주제 발표를 통해 "개별 가계가 보유한 금융자산 양극화에 따른 소득 불균형 심화 현상은 완화되는 게 바람직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연구위원은 "개인의 가처분 소득에서 금융 부채가 차지하는 비율이 외환위기 직후였던 1998년 0.71%에서 2005년에는 1.28%로 늘어나는 등 하위 계층의 자산 구조가 갈수록 악화되는 추세"라며 "이들 계층이 이용할 수 있는 서민 금융회사의 가계대출 잔액이 금융권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7.6%에 불과하며,그나마 이 비율이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위원은 "외환위기 이후 상호저축은행 신용협동기구 등이 부실해지면서 서민 금융회사의 기능이 크게 축소된 반면 은행의 서민금융 기능은 여전히 미흡한 실정"이라며 "하위 계층 및 극빈층을 대상으로 하는 마이크로크레디트나 서민 금융회사의 영업을 활성화시킬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이에 대해 이기영 경기대 교수(경제학)는 "서민 금융업계의 영업이 위축되면서 금리가 10~60% 수준인 상호저축은행의 신용대출 시장이 '사라져가는 시장(missing market)'이 돼 가고 있다"며 "서민 금융업계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정부가 정책적으로 개입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엄영호 연세대 교수(경영학)는 "위험을 회피할 수 있는 다양한 맞춤형 금융상품을 개발해야 금융시장의 양극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송종현 기자 screa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