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代 대선 D-1 년 관전포인트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17대 대선이 19일로 꼭 1년 앞으로 다가왔다.
한나라당이 40%대의 높은 지지율 속에 대선 주자들의 과열경쟁을 걱정하는 '행복한 고민'에 빠진 반면 열린우리당은 심각한 민심이반으로 창당 3년 만에 당 해체문제로 내분을 겪는 어려운 처지다.
지금 당장 선거를 치른다면 한나라당이 절대 유리한 국면이다.
그렇지만 여야 후보와 대선 구도가 어떻게 짜여지느냐에 따라 대선 양상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에서 한나라당 '빅3'의 경선 승복 여부와 범여권의 단일 대항마 결정 여부,남북정상회담 등 남북 관련 '깜짝카드' 가능성 등이 주요 관전포인트로 꼽힌다.
○여 범여권 후보 낼까=열린우리당의 해체가 기정사실화되면서 향후 범여권의 재편이 어떤 방식으로 이뤄질지가 관심사다.
여당 내 통합신당 추진파는 고건 전 총리와 민주당,재야 제3세력과의 합종연횡을 통한 중도통합신당 창당을 추진하고 있다.
신당파의 구상대로 반한나라당 전선 구축에 성공한다면 대선전은 지금과는 사뭇 다른 양상을 띨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나온다.
현재 정치 참여를 부인하고 있는 정운찬 전 서울대 총장과 박원순 아름다운재단 상임이사 등 제3후보의 경선 참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여기서 노무현 대통령의 행보가 또 다른 변수다.
노 대통령이 지역구도 타파를 위한 중대선거구제와 여당 탈당을 통한 거국중립내각 구성 등을 고리로 임기 중 사퇴라는 극단적인 승부수를 던질 가능성도 여전히 변수로 남아있다.
○야 경선 결과 승복하나=한나라당의 후보가 누가 되느냐 만큼 관심을 끄는 대목은 바로 '빅3'의 경선 승복 여부다.
빅3 모두 "승복하겠다"는 입장을 강조하고 있지만 정치권 안팎에서는 회의적인 시각이 적지 않은 것도 사실이다.
모든 후보가 경선 결과를 수용,후유증을 차단한다면 대선전에서 유리한 고지에 올라서겠지만 반대 상황을 맞는다면 전혀 다른 여건이 조성될 수도 있다.
일각에서 "빅3 중 여당 후보로 나설 가능성도 있다"는 얘기가 나오는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실제 한나라당은 97년 대선 때 후보 선출 경선 후 단일대오를 형성하지 못해 고배를 마신 경험이 있다.
○남북 정상회담 성사되나=정치권에서 끊이지 않는 남북 정상회담 성사설 등이 현실화될지 여부도 주목 대상이다.
정상회담이 이뤄져 획기적인 남북 화해안이 나오는 등 한반도 정세에 큰 변화가 일 경우 대선전에 일정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여권이 이 문제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는 것도 이런 연유에서다.
이재창 기자 leejc@hankyung.com
한나라당이 40%대의 높은 지지율 속에 대선 주자들의 과열경쟁을 걱정하는 '행복한 고민'에 빠진 반면 열린우리당은 심각한 민심이반으로 창당 3년 만에 당 해체문제로 내분을 겪는 어려운 처지다.
지금 당장 선거를 치른다면 한나라당이 절대 유리한 국면이다.
그렇지만 여야 후보와 대선 구도가 어떻게 짜여지느냐에 따라 대선 양상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에서 한나라당 '빅3'의 경선 승복 여부와 범여권의 단일 대항마 결정 여부,남북정상회담 등 남북 관련 '깜짝카드' 가능성 등이 주요 관전포인트로 꼽힌다.
○여 범여권 후보 낼까=열린우리당의 해체가 기정사실화되면서 향후 범여권의 재편이 어떤 방식으로 이뤄질지가 관심사다.
여당 내 통합신당 추진파는 고건 전 총리와 민주당,재야 제3세력과의 합종연횡을 통한 중도통합신당 창당을 추진하고 있다.
신당파의 구상대로 반한나라당 전선 구축에 성공한다면 대선전은 지금과는 사뭇 다른 양상을 띨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나온다.
현재 정치 참여를 부인하고 있는 정운찬 전 서울대 총장과 박원순 아름다운재단 상임이사 등 제3후보의 경선 참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여기서 노무현 대통령의 행보가 또 다른 변수다.
노 대통령이 지역구도 타파를 위한 중대선거구제와 여당 탈당을 통한 거국중립내각 구성 등을 고리로 임기 중 사퇴라는 극단적인 승부수를 던질 가능성도 여전히 변수로 남아있다.
○야 경선 결과 승복하나=한나라당의 후보가 누가 되느냐 만큼 관심을 끄는 대목은 바로 '빅3'의 경선 승복 여부다.
빅3 모두 "승복하겠다"는 입장을 강조하고 있지만 정치권 안팎에서는 회의적인 시각이 적지 않은 것도 사실이다.
모든 후보가 경선 결과를 수용,후유증을 차단한다면 대선전에서 유리한 고지에 올라서겠지만 반대 상황을 맞는다면 전혀 다른 여건이 조성될 수도 있다.
일각에서 "빅3 중 여당 후보로 나설 가능성도 있다"는 얘기가 나오는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실제 한나라당은 97년 대선 때 후보 선출 경선 후 단일대오를 형성하지 못해 고배를 마신 경험이 있다.
○남북 정상회담 성사되나=정치권에서 끊이지 않는 남북 정상회담 성사설 등이 현실화될지 여부도 주목 대상이다.
정상회담이 이뤄져 획기적인 남북 화해안이 나오는 등 한반도 정세에 큰 변화가 일 경우 대선전에 일정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여권이 이 문제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는 것도 이런 연유에서다.
이재창 기자 leej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