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작전통제권 이양문제를 놓고 한 차례 대립각을 세웠던 노무현 대통령과 전직 군 장성들이 또 다시 정면 충돌 양상으로 치닫고 있다.

전직 국방장관과 육·해·공군 참모총장 등 예비역 장성 70여명은 26일 서울 송파구 신천동 대한민국재향군인회 사무실에서 긴급회동을 갖고,노 대통령의 '군대발언'에 대해 조목조목 비난하는 성명서를 채택하는 한편 노 대통령의 발언 취소와 사과를 공식 요구했다.

이들은 성명서 초안에서 "우리 국민과 국군,헌법을 모독하고 신성한 국방의무를 폄하한 (대통령의 발언에) 대해 실망과 분노를 금할 수 없다"고 밝혔다.

특히 "젊은이들이 군대에 가서 몇년씩 썩히지 말고…"라는 언급과 관련,"혹한을 무릅쓰고 조국의 산하를 지키고 있는 70만 국군 장병들에 대한 모독인 동시에 신성한 국토방위 의무를 폄하한 발언"이라고 규정했다.

정부의 군 복무기간 단축 검토에 대해서도 "군 인력수급의 어려움과 전투력 저하로 이어질 가능성이 매우 높다"며 "정치적 목적으로 군 복무기간을 단축시키려는 시도에 대해 강력히 반대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 "북한이 쏜 미사일이 한국으로 날아오지 않는다는 것이 명백한 사실인데…"라는 노 대통령의 언급과 관련,"북한 미사일 공격 대상은 누가 봐도 남한 국민들뿐"이라며 "북한 미사일이 남한으로 날아 오지 않는다고 어떻게 단언할 수 있는가"라고 꼬집었다.

'국방비 사용'과 관련,노 대통령의 "우리 군인들이 떡을 사먹었냐" 발언에 대해 "마치 국방비를 헛되게 낭비한 주범으로 몰아붙이는 데 대해 심히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날 회동에는 김성은,오자복,노재현,이기백,이병태,최세창,정래혁,서종철,이종구,김동진,김동신 전 국방장관을 비롯해 합참의장,각군 참모총장,연합사부사령관 등 역대 군수뇌부 70여명이 참석했다.

특히 참여정부에 몸담았던 김종환 전 합참의장,남재준 전 육군참모총장,김인식·김명균 전 해병대 사령관 등도 자리를 같이했다.

김수찬 기자 ksc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