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류문화 내리막길‥새콘텐츠 시급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류가 정점을 지나 성장의 둔화를 겪는 변곡점에 도달했다.
새로운 한류 스타와 콘텐츠 배출이 시급하다.'
국제문화산업교류재단(이사장 신현택)은 26일 이 같은 내용의 '한국 문화상품의 동아시아 소비자 및 정책조사 보고서'를 발표했다.
교류재단은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엔아이코리아에 의뢰해 지난 9~10월 중국(베이징) 일본(도쿄) 홍콩 대만(타이베이)의 15~59세 남녀 2109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드라마·영화·음악 등 한류 콘텐츠에 대한 아시아인의 불만이 전반적으로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조사 결과 한국 드라마에 대한 일본의 만족도를 제외하면 한류 콘텐츠에 대한 만족도가 전반적으로 떨어졌다.
드라마의 경우 중국과 대만은 2004년 대비 만족도가 각각 72.0%에서 63.3%,62.0%에서 57.9%로 낮아졌다.
영화 만족도는 일본(60.0%→54.6%) 중국(75.0%→59.7%) 대만(49.0%→42.1%) 모두 낮아졌고 대중음악에서도 세 나라의 만족도가 큰 폭으로 떨어졌다.
한국 스타 인지율과 선호도 조사에서는 배용준 이영애 김희선 등 '전통적 한류 스타'들의 인기가 여전한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 연예인 전체 인지율 조사에서 배용준은 일본과 대만에서 50.1%와 27.0%로 1위를 차지했다.
김희선은 중국에서 전체 인지율 29.3%로 가장 높았고,이영애는 홍콩에서 전체 인지율 31.0%로 수위를 달렸다.
또 새롭게 좋아하게 된 한국 연예인으로는 가수 비가 중국과 대만에서 각 3.8%와 6.3%로 1위를 차지해 '차세대 한류 톱스타'로 주목받았다.
한편 문화상품의 이용 경로를 조사한 결과 인터넷을 통한 소비시장이 크게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국에서는 인터넷,복제 DVD 등 불법 유통물의 이용률이 높게 나타나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한류의 주 소비계층은 세련된 도시적 감수성과 트렌드에 민감한 20대 고학력자,전통적 유교가치 기반의 휴머니즘에 관심을 보이는 50대 등 두 가지 유형으로 분석돼 이를 고려한 한류 확산 전략이 필요한 것으로 보고서는 지적했다.
서화동 기자 fireboy@hankyung.com
새로운 한류 스타와 콘텐츠 배출이 시급하다.'
국제문화산업교류재단(이사장 신현택)은 26일 이 같은 내용의 '한국 문화상품의 동아시아 소비자 및 정책조사 보고서'를 발표했다.
교류재단은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엔아이코리아에 의뢰해 지난 9~10월 중국(베이징) 일본(도쿄) 홍콩 대만(타이베이)의 15~59세 남녀 2109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드라마·영화·음악 등 한류 콘텐츠에 대한 아시아인의 불만이 전반적으로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조사 결과 한국 드라마에 대한 일본의 만족도를 제외하면 한류 콘텐츠에 대한 만족도가 전반적으로 떨어졌다.
드라마의 경우 중국과 대만은 2004년 대비 만족도가 각각 72.0%에서 63.3%,62.0%에서 57.9%로 낮아졌다.
영화 만족도는 일본(60.0%→54.6%) 중국(75.0%→59.7%) 대만(49.0%→42.1%) 모두 낮아졌고 대중음악에서도 세 나라의 만족도가 큰 폭으로 떨어졌다.
한국 스타 인지율과 선호도 조사에서는 배용준 이영애 김희선 등 '전통적 한류 스타'들의 인기가 여전한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 연예인 전체 인지율 조사에서 배용준은 일본과 대만에서 50.1%와 27.0%로 1위를 차지했다.
김희선은 중국에서 전체 인지율 29.3%로 가장 높았고,이영애는 홍콩에서 전체 인지율 31.0%로 수위를 달렸다.
또 새롭게 좋아하게 된 한국 연예인으로는 가수 비가 중국과 대만에서 각 3.8%와 6.3%로 1위를 차지해 '차세대 한류 톱스타'로 주목받았다.
한편 문화상품의 이용 경로를 조사한 결과 인터넷을 통한 소비시장이 크게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국에서는 인터넷,복제 DVD 등 불법 유통물의 이용률이 높게 나타나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한류의 주 소비계층은 세련된 도시적 감수성과 트렌드에 민감한 20대 고학력자,전통적 유교가치 기반의 휴머니즘에 관심을 보이는 50대 등 두 가지 유형으로 분석돼 이를 고려한 한류 확산 전략이 필요한 것으로 보고서는 지적했다.
서화동 기자 firebo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