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당발 정계개편이 급류를 타기 시작했다.

열린우리당 내 대선주자로 제1,2대 주주인 정동영 전 의장과 김근태 의장이 손잡고 신당창당 깃발을 올림으로써 통합신당 창당이 대세를 이루는 형국이다.

특히 두 사람이 노무현 대통령이 반대하는 신당 추진 차원을 넘어 노 대통령의 '불간섭'을 촉구하고 나선 것은 노 대통령과의 차별화를 공식 선언한 것으로 해석된다.

노 대통령 대응 여하에 따라서는 신당파와 친노파의 이별이 빨라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차별화 나선 두 사람

여당 내 1대 주주인 정 전 의장과 2대주주인 김 의장이 공개적인 자리에서 '원칙있는 국민의 신당'을 추진키로 합의한 것은 노 대통령의 반대에 개의치 않고 신당을 밀어붙이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한 것이다.

노 대통령이 고건 전 총리를 연일 공격하며 통합신당 논의에 제동을 걸어왔다는 점에 비춰보면 사실상의 반기로 해석될 여지가 많다.

이들은 한발 더 나아가 노 대통령의 불개입을 들고 나왔다.

두 사람이 합의문을 통해 "국민의 신당은 어느 누구의 영향권에서도 벗어나야 한다"고 언급한 것은 '노 대통령은 신당 논의과정서 손을 떼라'는 메시지에 다름아니다.

사실상 정치적 결별 선언인 셈이다.

이는 신당 추진 방향이 노대통령 지지세력을 배제한 채 반(反) 한나라당 세력을 규합하는 쪽으로 갈 것임을 시사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들이 공동전선을 구축해 반기를 든 데는 "이대론 안 된다"는 위기감 속에 신당 추진에 의원들 대다수가 동의하고 있는 데다 당내 의원 분포상 정동영계가 40∼50명,김근태계 30여명으로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는 자신감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노 대통령의 역공에 따른 '되치기'가능성에도 대비한 측면이 강하다.

○노 대통령 대응이 변수

친노 진영의 반발도 만만치 않은 상황이다.

친노파 일각에서는 "이렇게 밀릴 바에야 갈라설 수밖에 없지 않느냐"는 강경론까지 나오고 있는 터라 노 대통령의 대응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김형주 의원은 "정계개편이 기왕에 논의된다면 정계개편을 이념적으로 정리해보는 게 좋다는 생각도 갖고 있다"며 "최대한 인내하고 함께 할 방향을 모색하되,그것이 안 돼서 대연합을 해낼 수 없다면 차분한 분리선언도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노 대통령이 대세에 따른다면 신당추진은 순항하겠지만 현재로선 가능성이 희박한 상태다.

노 대통령이 '마이웨이'를 선택한다면 여권은 분열의 길로 접어들 수밖에 없다.

신당파는 민주당과 고건 전 총리 세력,재야 전문가 세력을 아우르는 신당 창당에 나서고 친노세력은 신당에 합류하지 않고 독자신당으로 갈 가능성이 제기된다.

청와대는 신당 추진에 대해 일단 "내용을 파악해봐야 한다"며 입장 표명을 유보했다.

이재창·강동균 기자 leej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