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31 지방선거 참패 이후 난파선이 된 열린우리당 수장을 맡은 김근태 의장은 취임 이후 '뉴딜정책'에 승부수를 띄웠다.

지난 8월1일 취임 인사차 대한상공회의소를 방문한 자리에서 김 의장은 "경제계가 투자와 신규 채용 확대 등 경제 활성화에 나서면 정부도 출자총액제한제도 폐지를 비롯한 규제 완화와 경영권 보호장치 마련 등 재계의 요구를 적극 수용하겠다"며 이른바 '뉴딜'을 제안했다.

그는 민주노총과 한국노총 등 노동계에도 파업을 자제하면 일자리를 보장하겠다며 대타협에 나서 줄 것을 요청했다.

경제 문제 해결을 최우선 과제로 두고,서민경제 회복과 사회적 대타협을 이뤄 궁극적으로 등돌린 민심을 되찾겠다는 게 김 의장의 구상이었다.

그는 "신자유주의적 성장이 아닌 서민경제가 웃을 수 있는 성장,성장의 과실이 서민들의 삶 개선으로 선순환하도록 하기 위해 '뉴딜'이라는 방안을 내놓았다"며 "뉴딜을 통한 추가 성장과 그 성장의 결과가 복지로 이어지도록 해야 한다는 게 제 생각"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뉴딜은 청와대와 정부는 물론 당내 일각에서조차 시큰둥한 반응을 보이고 재계와 노동계 역시 반신반의하면서 추진 동력을 상실해가고 있다.

재계에 약속했던 출총제 폐지와 규제 완화는 공정거래위원회와 일부 시민단체의 반발로 성과를 내지 못했다.

노동계와의 대타협도 이렇다 할 결실을 맺지 못했다.

이에 대해 김 의장은 여전히 "만성적인 저투자 저성장 저고용 문제를 해결하고 우리 경제를 살리기 위해서는 '뉴딜'이 유일한 돌파구"라고 강조했다.

그는 "우리은행이 해낸 것을 대한민국이 못할 이유가 없다.

이를 확대하면 사회적 대타협을 이룰 수 있다"며 "정부의 반대와 당내 이견 때문에 현재 적극적으로 추진하지 못하고 있지만 적절한 시점에 투자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을 위한 뉴딜을 다시 밀고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강동균 기자 kd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