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들이 대출 가산금리 인상에 이어 총부채상환비율(DTI)까지 확대 적용할 움직임을 보이자 부동산 시장이 크게 술렁이고 있다.

특히 시가 3억~6억원짜리 주택이 1차적인 타격을 받을 것이란 관측이 많다.

서울 강남구 개포동의 A공인 관계자는 3일 "11·15대책 이후 거래가 거의 끊긴 상태에서 대출 추가 제한 소식에 매수 문의조차 사라졌다"면서 "한동안 약보합세가 지속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성북구 돈암동의 D공인 관계자는 "고객들이 앞으로 대출받기가 더욱 어렵게 될 것이라며 불안해하고 있다"고 전했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이번 조치로 봄 이사철을 앞두고 내 집 마련에 나서려던 실수요자들의 매수 의지가 적지 않게 꺾일 것으로 보고 있다.

박상언 유엔알컨설팅 사장은 "신규 대출 규제가 3억~6억원짜리 주택에 집중돼 서울 강북권 30평형대와 강남권 10~20평형대 아파트의 타격이 불가피하다"면서 "수요와 공급이 동시에 줄면서 주택 시장이 침체에 빠질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수도권 저가 주택에 관심이 쏠릴 것이란 관측도 나오고 있다.

안명숙 우리은행 강남센터 부동산팀장은 "시가 3억원 이하에 대해선 여전히 규제가 없는 만큼 수도권 재개발·뉴타운 주택이나 저가 아파트 쪽으로 수요가 옮겨갈 수도 있다"고 말했다.

조재길 기자 roa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