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새해 벽두부터 정부와 지자체들은 너도 나도 부동산 문제를 화두로 꺼내들고 있습니다.

여기에 대선까지 맞물리면서 온 나라가 "집값 잡기"에만 혈안이 돼 있는 듯한 모습입니다. 하지만, 봇물처럼 터지는 부동산 관련 대책들이 과연 국민들의 요구을 제대로 반영하고 있는 것인지는 생각해 볼 문제인 것 같습니다.

최서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지난해 전국을 강타한 부동산 광풍의 기세가 올해도 여전히 이어지고 있습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연초부터 부동산과

관련된 화두를 연이어 쏟아내고 있습니다.

이용섭 건교부장관과 오세훈 서울시장은

새해 첫 날 약속이나 한듯이 분양가를 시세의 80%수준으로 끌어내리겠다고 밝혔습니다.

대선주자들의 최대 관심 공약 역시 부동산입니다.

이명박 전 시장은 대지임대부 분양 등 다양한 저가 공급방식을 내세웠고 박근혜 전 대표는 분양가를 낮추기 위해 국가가 직접 아파트 건설과 시행을 맡아야 한다며 '국가시행 분양제'라는 제2의 반값 아파트를 제안했습니다.



하지만, 하루가 멀다하고 쏟아지고 있는 부동산 정책에 시민들은 부동산 불신을 넘어서 불감증을 느끼고 있습니다.

<인터뷰: 허종대(36)>

"집값이 70%~80% 수준으로 떨어진다고 해서 이미 많이 오른 상태에서는 별 느낌은 없다고 봅니다. 일단 제일 중요한 것은 현실성 있게 들리지 않는다는 것이다."

<인터뷰: 진남수(35)>

"일단 반값 아파트는 현실성이 없다고 본다. 명칭부터 잘못됐다. 일단 토지에 대해서도 (임대일 뿐) 무료가 아니잖아요. 장기아파트 그것도 2년마다 재계약이잖요. 주변시세의 85%라 해도 2년마다 재계약하면 주변 집값이 오르는만큼 전셋값이 뛰는 건 마찬가지일 것 같다."

온라인상에서도 부동산 정책에 대한 토론은 활발합니다.

최근 나온 대부분의 부동산 대책이 서민들을 겨냥한 것임에도 불구하고 서민들의 불만은 전혀 줄어들지 않는 모습입니다.

불만의 대상도 정부부터 지자체, 금융기관에 이르기까지 다양합니다.

결국 부동산 정책과 제안은 넘쳐나지만 국민들이 공감하기엔 무엇인가 부족하다는 것이 현실입니다.

일부에선 대선을 겨냥한 민심끌기용 정책이 오히려 시장을 왜곡시킬 수 있다는 우려마저 제기되고 있습니다.

<인터뷰: 한태욱 대신경제연구소 부장>

"금년말에 대선이 있기 때문에 여야가 총력전으로 부동산 가격을 잡겠다고 나섰다. 특히, 서민들의 주거안정을 보호하겠다는 차원인데, 어떻게 보면 부동산을 대선을 위한 포플리즘으로 이용하는 것이 아닌가라는 생각이 든다."

부동산 광풍이라는 표현이 나올 정도로 "집값 잡기"가 최우선 국정목표가 돼버린 대한민국.

국민들은 경쟁적으로 쏟아내는 선심성 정책보단 실현가능하고 지속적인 정책을 통한 신뢰회복을 원하고 있습니다.

WOWTV-NEWS 최서우입니다.

최서우기자 swchoi@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