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에세이] 늑대정신‥柳熙烈 <기초기술연구회 이사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柳熙烈 < 기초기술연구회 이사장 hyyu@krcf.re.kr >
2년 전 중국에서 1400만부(1300만부는 복제판) 이상 팔린 베스트셀러 '랑(狼)'은 장룽(姜戎)이 문화대혁명 시기에 베이징에서 나와 내몽골 엘룬 초원에서 10여년간 생활한 개인적 극한체험을 녹인 독특한 역작이다.
저자는 일찍이 유라시아를 정복해 세계 역사상 가장 넓은 영토의 대제국을 창조해낸 소민족 몽골의 군사적 재능이 중국 병가의 성인(聖人)인 손자(孫子)를 뛰어넘을 수 있었던 것은 바로 드넓은 초원에서 늑대를 통해 직접적이고도 확실하게 실전의 군사(軍事)를 배웠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늑대는 황량한 벌판에서 세대를 거듭하며 가장 적합하게 진화됐고,늑대의 촘촘한 털가죽은 덮고 있으면 자연히 땀이 맺힐 정도로 보온성이 뛰어나며,어른의 손가락만한 송곳니는 두꺼운 곰의 가죽도 꿰뚫는다.
강력한 전투력과 기동성은 드넓은 광야에서 유목을 하던 몽골인들에게 부러움과 두려움의 대상이었을 것이다.
하지만 몽골인들이 늑대로부터 본 것은 이런 외면적인 것에 그치지 않았다.
별로 찬란한 문화를 가지지 못한 것처럼 보이는 이들 유목민족을 세계 무대에 등장시킨 힘으로 소개되고 있는 이 늑대의 강인함에는 또 무엇이 있었을까?
늑대의 강함은 질서 정연한 조직력에 있다.
늑대들은 홀로 사냥하지 않는다.
대장 늑대는 20~40마리씩 무리를 거느리며 생활하고 사냥하며,번식한다.
사냥 중엔 누구도 대장 늑대의 명령을 거스르지 않는다.
늑대를 강하게 하는 또 다른 힘은 상상을 초월한 끈질긴 인내심에 있다.
늑대가 가젤(영양의 일종)을 사냥할 때는 무리 전체가 숨을 죽이고 배고픔과 추위를 참아내며 몇 시간 또는 며칠 동안도 눈 속에 파묻혀 몸을 숨기고 최적의 기회를 포착해 사냥에 성공한다.
늑대의 '야성'이란 이러한 지혜,놀라운 집중력과 조직력,인내심과 도전성에 기초한 것으로 이들 모두를 합한 속성이라 할 수 있다.
역사를 보면 늑대들처럼 행동할 때는 위대했으나,농경민족의 상징인 양처럼 행동할 때는 야만적인 침략가이건,서양 나라이건,누구든지 제일 먼저 온 사람의 지배 하에 떨어졌다고 하면서 늑대정신의 재생을 강조한다.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다.
우리는 기마민족의 진취성과 잠재력을 가진 민족이다.
세계 11위의 경제 대국으로 성장했고,최근의 코스닥시장 규모가 세계 4위이며 거래량이 2위인 것만 봐도 아직 잠재력뿐 아니라 벤처정신이 살아있는 민족이다.
게임과 인터넷에 빠져있고,자립성 없이 부모에게만 의존하며(일명 '캥거루족'),장기 실업과 경쟁으로 지쳐 무력해진 작금의 젊은 세대들은 초원의 혼이라 불리는 늑대의 야성을 배워 그 진취성과 잠재력에 날개를 달도록 해 동방의 등불로서 찬사를 받아왔던 찬란한 역사를 재연하도록 하자.
2년 전 중국에서 1400만부(1300만부는 복제판) 이상 팔린 베스트셀러 '랑(狼)'은 장룽(姜戎)이 문화대혁명 시기에 베이징에서 나와 내몽골 엘룬 초원에서 10여년간 생활한 개인적 극한체험을 녹인 독특한 역작이다.
저자는 일찍이 유라시아를 정복해 세계 역사상 가장 넓은 영토의 대제국을 창조해낸 소민족 몽골의 군사적 재능이 중국 병가의 성인(聖人)인 손자(孫子)를 뛰어넘을 수 있었던 것은 바로 드넓은 초원에서 늑대를 통해 직접적이고도 확실하게 실전의 군사(軍事)를 배웠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늑대는 황량한 벌판에서 세대를 거듭하며 가장 적합하게 진화됐고,늑대의 촘촘한 털가죽은 덮고 있으면 자연히 땀이 맺힐 정도로 보온성이 뛰어나며,어른의 손가락만한 송곳니는 두꺼운 곰의 가죽도 꿰뚫는다.
강력한 전투력과 기동성은 드넓은 광야에서 유목을 하던 몽골인들에게 부러움과 두려움의 대상이었을 것이다.
하지만 몽골인들이 늑대로부터 본 것은 이런 외면적인 것에 그치지 않았다.
별로 찬란한 문화를 가지지 못한 것처럼 보이는 이들 유목민족을 세계 무대에 등장시킨 힘으로 소개되고 있는 이 늑대의 강인함에는 또 무엇이 있었을까?
늑대의 강함은 질서 정연한 조직력에 있다.
늑대들은 홀로 사냥하지 않는다.
대장 늑대는 20~40마리씩 무리를 거느리며 생활하고 사냥하며,번식한다.
사냥 중엔 누구도 대장 늑대의 명령을 거스르지 않는다.
늑대를 강하게 하는 또 다른 힘은 상상을 초월한 끈질긴 인내심에 있다.
늑대가 가젤(영양의 일종)을 사냥할 때는 무리 전체가 숨을 죽이고 배고픔과 추위를 참아내며 몇 시간 또는 며칠 동안도 눈 속에 파묻혀 몸을 숨기고 최적의 기회를 포착해 사냥에 성공한다.
늑대의 '야성'이란 이러한 지혜,놀라운 집중력과 조직력,인내심과 도전성에 기초한 것으로 이들 모두를 합한 속성이라 할 수 있다.
역사를 보면 늑대들처럼 행동할 때는 위대했으나,농경민족의 상징인 양처럼 행동할 때는 야만적인 침략가이건,서양 나라이건,누구든지 제일 먼저 온 사람의 지배 하에 떨어졌다고 하면서 늑대정신의 재생을 강조한다.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다.
우리는 기마민족의 진취성과 잠재력을 가진 민족이다.
세계 11위의 경제 대국으로 성장했고,최근의 코스닥시장 규모가 세계 4위이며 거래량이 2위인 것만 봐도 아직 잠재력뿐 아니라 벤처정신이 살아있는 민족이다.
게임과 인터넷에 빠져있고,자립성 없이 부모에게만 의존하며(일명 '캥거루족'),장기 실업과 경쟁으로 지쳐 무력해진 작금의 젊은 세대들은 초원의 혼이라 불리는 늑대의 야성을 배워 그 진취성과 잠재력에 날개를 달도록 해 동방의 등불로서 찬사를 받아왔던 찬란한 역사를 재연하도록 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