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핵실험 준비를 마쳤다는 미 국방부 관리의 말이 언론에 보도되면서 북핵실험 가능성이 다시 불거졌다.

외교통상부 당국자는 5일 "일부 이상 활동이 장기적으로 식별된 것은 사실"이라고 확인했다.

그러나 "오랜 시간에 걸쳐 파악된 움직임이며 실험이 임박했다는 새로운 징후는 없다"고 덧붙였다.

북한 함경북도 풍계리 일대에선 지난해 10월9일 핵실험 이후 사람과 차량의 움직임이 계속 있었다.

특히 핵실험 1주일 후 재실험이 임박했다는 소문이 급속히 퍼져 중국의 탕자쉬안 특사 파견으로 이어졌다.

북핵 실험의 가능성은 그후 한동안 사그라든 듯 보였으나 기술적인 측면에선 추가 실험이 필연적이다.

이춘근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박사는 "북한이 지난해 핵실험 때 중국에 4kt(킬로톤)을 투입한다고 통보했는데 실제론 0.8kt밖에 터지지 않았다"며 "설계능력은 갖춘 것 같지만 전술적 핵무기를 만들려면 5~6차례 실험을 더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유엔 및 국제사회가 강도 높은 추가 제재를 가할 개연성이 크다는 점에서 북한이 섣불리 움직이기는 어려워 보인다.

한편 북한 입장에선 중국과 러시아가 지금처럼 바람막이가 돼주는 한 제재가 정권에 치명타를 줄 만한 봉쇄에 이르지 않을 것이라는 계산이 가능하다.

북한은 추가 핵실험의 이해득실을 놓고 주판을 튕겨볼 것으로 보인다.

동용승 삼성경제연구소 경제안보팀장은 "북한은 추가 핵실험을 할 준비가 돼 있으나 스스로 당당한 핵 보유국이라고 주장했기 때문에 예고없이 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방코델타아시아(BDA)은행에 묶인 자금을 돌려받기 위한 미국과의 실무협의가 예정돼 있어 결과를 보기 전에 실험을 강행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핵실험은 북한이 장기적으로 이용할 위협 카드다.

동 팀장은 "협상이 잘 안 될 경우 북한은 핵실험을 통해 핵 보유국임을 다시 선언할 것"이라며 "이 경우 미국의 체제 보장도 더 이상 필요 없다고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지영 기자 co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