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여록] 횡령에 코꿰인 코스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지난해 코스닥시장은 부진했다. 코스닥지수는 연초 701.79에서 연말에 606.15로 13.6%나 하락했다. 지수하락을 2005년의 상승세에 따른 숨고르기로 해석하는 사람도 있다. 그래서 올해는 750선까지는 오를 것이라는 기대도 있다. 그러나 지난해 재발된 코스닥시장의 몇가지 고질적인 병폐들이 해소되지 않는 한 재도약은 쉽지 않을 전망이다.
대표적인 것이 코스닥임원들의 횡령·배임 사고다. 올해 초에도 코스닥시장은 2건의 횡령사고로 휘청거렸다. 원조슈퍼개미로 불리던 경모씨 등 2명이 자신이 대표이사로 있던 에프와이디에서 100억원을 횡령,검찰에 고발됐다. 경씨는 과거에 시세조종혐의로 고발됐었고 다른 코스닥상장사에서도 횡령으로 기소를 당한적이 있다. 그런데도 다시 상장사의 대표를 맡아 거금을 횡령했으니 투자자들로서는 땅을 칠 일이다.
시큐어소프트 역시 전 대표이사였던 현모씨가 200억원이나 횡령한 것이 뒤늦게 드러나 회사가 존폐위기에 몰렸다. 이 회사는 대표이사가 임의로 자회사의 지분을 처분했는데도 이 사실을 모르고 있다가 언론보도 이후에야 뒤늦게 사태파악에 나서는 등 허점을 드러냈다.
증권선물거래소에 따르면 지난해 코스닥기업의 횡령·배임 등의 사고는 모두 21건으로 전년도의 18건에 비해 오히려 늘었다. 코스닥기업들의 횡령사고가 끊이지 않는 것은 경영을 감시할 감사와 사외이사 등이 취약하기 때문이다. 우회상장으로 인한 잦은 경영권 변동 등도 횡령 사고를 부추기는 요인이다. 경제범죄에 대해 관대한 처벌도 문제다. 경씨의 경우 두 번의 법위반 전력이 있지만 상장사의 대표를 맡는데 제약을 받지 않았다.
코스닥기업에서 횡령 배임 등의 사고가 발생하면 감독당국은 "일부 미꾸라지가 물을 흐리는 것"이라며 "대다수 선량한 기업까지 매도해서는 안된다"고 강조한다. 그러나 정작 이를 줄이기 위한 대책은 마련하지 않고 있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횡령 배임 등 전력이 있는 사람에 대해서는 투자자들이 알 수 있도록 블랙리스트를 만들어 공개하고 내부감시시스템을 강화하는 제도적 개선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정책당국도 횡령 배임사건을 단순한 '미꾸라지'로 치부할 때는 아닌 듯 싶다.
김태완 증권부 기자 twkim@hankyung.com
대표적인 것이 코스닥임원들의 횡령·배임 사고다. 올해 초에도 코스닥시장은 2건의 횡령사고로 휘청거렸다. 원조슈퍼개미로 불리던 경모씨 등 2명이 자신이 대표이사로 있던 에프와이디에서 100억원을 횡령,검찰에 고발됐다. 경씨는 과거에 시세조종혐의로 고발됐었고 다른 코스닥상장사에서도 횡령으로 기소를 당한적이 있다. 그런데도 다시 상장사의 대표를 맡아 거금을 횡령했으니 투자자들로서는 땅을 칠 일이다.
시큐어소프트 역시 전 대표이사였던 현모씨가 200억원이나 횡령한 것이 뒤늦게 드러나 회사가 존폐위기에 몰렸다. 이 회사는 대표이사가 임의로 자회사의 지분을 처분했는데도 이 사실을 모르고 있다가 언론보도 이후에야 뒤늦게 사태파악에 나서는 등 허점을 드러냈다.
증권선물거래소에 따르면 지난해 코스닥기업의 횡령·배임 등의 사고는 모두 21건으로 전년도의 18건에 비해 오히려 늘었다. 코스닥기업들의 횡령사고가 끊이지 않는 것은 경영을 감시할 감사와 사외이사 등이 취약하기 때문이다. 우회상장으로 인한 잦은 경영권 변동 등도 횡령 사고를 부추기는 요인이다. 경제범죄에 대해 관대한 처벌도 문제다. 경씨의 경우 두 번의 법위반 전력이 있지만 상장사의 대표를 맡는데 제약을 받지 않았다.
코스닥기업에서 횡령 배임 등의 사고가 발생하면 감독당국은 "일부 미꾸라지가 물을 흐리는 것"이라며 "대다수 선량한 기업까지 매도해서는 안된다"고 강조한다. 그러나 정작 이를 줄이기 위한 대책은 마련하지 않고 있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횡령 배임 등 전력이 있는 사람에 대해서는 투자자들이 알 수 있도록 블랙리스트를 만들어 공개하고 내부감시시스템을 강화하는 제도적 개선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정책당국도 횡령 배임사건을 단순한 '미꾸라지'로 치부할 때는 아닌 듯 싶다.
김태완 증권부 기자 tw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