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의 인구 감소세가 계속되며 급기야 1년 동안 단 한명의 신생아도 출생하지 않은 면(面)까지 나왔다.

10일 전북도와 행정자치부가 밝힌 2006년 12월말 현재 도내 인구현황에 따르면 남원시 수지면의 지난해 출생아는 '0'명으로 나타났다.

수지면에 이어 익산시 웅포면은 2명 출생에 그쳤고 완주군 동상면과 고창군 고수면, 부안군 위도면은 3명에 불과했다.

남원시 덕과면이 4명으로 뒤를 이었고 진안군 용담면과 임실군 덕치면.성수면 등 3곳은 5명이었다.

이밖에 신생아가 10명 이하인 면도 30여 곳이나 돼 농촌을 중심으로 한 고령화가 심각한 수준임을 보여주고 있다.

농촌의 신생아 수 급감은 농산물 수입개방 등으로 젊은층의 탈농현상이 가속화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도내 전체적으로도 지난해 말 현재 전체 인구는 186만8천여명으로 전년도 188만5천여명에 비해 1만7천여명 감소했다.

인구 감소세는 중.소도시와 농촌 지역 구분없이 진행되고 있다.

도내 14개 시.군 가운데 인구가 증가한 곳은 전주시(3천100명)와 순창군(473명) 뿐이었으며 나머지 12개 시.군은 400-3천여명씩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도 관계자는 "상당수 농촌 면들이 초 고령사회에 진입한 상태여서 시간이 갈수록 신생아가 출생하지 않은 지역이 속출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도 전체적으로도 경기침체가 장기화하고 있어 인구 감소세는 당분간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전주연합뉴스) 백도인 기자 doin100@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