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사, 公기업 퇴직연금시장 '압승'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증권사들이 초기 퇴직연금 시장에서 은행 보험권 등을 제치고 주도권을 잡은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석유공사를 포함한 정부투자 5개 기관은 최근 각각 3~6개의 퇴직연금 복수 사업자를 선정,총 10개 금융기관 25개 사업자를 발표했다.
이 가운데 4개 증권사가 전체의 40%에 달하는 10개의 사업자로 선정됐다.
또 3개 보험사가 8개(32%) 사업자로,3개 은행이 7개(28%) 사업자로 꼽혔다.
퇴직연금 시장의 최대 승부처로 꼽힌 정부투자기관의 퇴직연금 시장에서 예상을 깨고 증권사들이 압도한 셈이다.
특히 대우증권은 5개 기관 중 4곳의 사업자로 선정돼 전 금융권중 삼성생명과 공동 1위를 차지하며 두각을 나타냈다.
이어 미래에셋증권 3개 기관,삼성증권 2개 기관,굿모닝신한증권이 1개 기관의 사업자로 선정됐다.
보험권에서는 삼성생명이 4개 기관에서 사업자로 선정돼 1위를,은행권에서는 국민은행과 신한은행이 각각 3개 기관에서 사업자로 선정돼 1위를 차지했다.
대우증권 김호범 신탁연금부장은 "자산운용능력과 근로자 투자교육시스템을 바탕으로 차별화된 컨설팅을 제시한 것이 주효했다"고 말했다.
서정환 기자 ceoseo@hankyung.com
11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석유공사를 포함한 정부투자 5개 기관은 최근 각각 3~6개의 퇴직연금 복수 사업자를 선정,총 10개 금융기관 25개 사업자를 발표했다.
이 가운데 4개 증권사가 전체의 40%에 달하는 10개의 사업자로 선정됐다.
또 3개 보험사가 8개(32%) 사업자로,3개 은행이 7개(28%) 사업자로 꼽혔다.
퇴직연금 시장의 최대 승부처로 꼽힌 정부투자기관의 퇴직연금 시장에서 예상을 깨고 증권사들이 압도한 셈이다.
특히 대우증권은 5개 기관 중 4곳의 사업자로 선정돼 전 금융권중 삼성생명과 공동 1위를 차지하며 두각을 나타냈다.
이어 미래에셋증권 3개 기관,삼성증권 2개 기관,굿모닝신한증권이 1개 기관의 사업자로 선정됐다.
보험권에서는 삼성생명이 4개 기관에서 사업자로 선정돼 1위를,은행권에서는 국민은행과 신한은행이 각각 3개 기관에서 사업자로 선정돼 1위를 차지했다.
대우증권 김호범 신탁연금부장은 "자산운용능력과 근로자 투자교육시스템을 바탕으로 차별화된 컨설팅을 제시한 것이 주효했다"고 말했다.
서정환 기자 ceose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