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 노조가 성과급 50% 추가 지급을 요구하며 끝내 파업을 결의했다.

현대차 노조는 12일 임시대의원대회를 열고 오는 31일까지 1단계 파업투쟁안을 참가 대의원 300여명(전체 455명) 만장일치로 결의하고 파업 지도부인 중앙쟁의대책위원회를 구성,운영키로 했다고 밝혔다.

노조는 일단 15일에는 주야간 각각 4시간,17일에는 주야간 각각 6시간 부분파업을 단행하고,지난달 28일부터 벌여온 잔업 및 특근거부를 계속 이어가기로 했다.

16일 하루는 회사측과의 교섭을 위해 정상근무키로 했다고 밝혔다.

현대자동차측은 즉각 "목적과 절차가 잘못된 명백한 불법"이라며 원칙 대응 방침을 재확인했다.

법무부 노동부 검찰 등 정부 관계자들도 "현대차 노조의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불법파업이 발생할 경우 엄정대처하겠다"고 경고했다.

이와 관련,노동부 관계자는 "성과급을 둘러싼 노조의 파업은 쟁위행위 요건이라고 볼 수 없기 때문에 명백한 불법 파업"이라고 규정했다.

현대차 노조 파업이 시작되면 민주노총도 연대투쟁에 나서기로 하는 등 성과급 문제로 촉발된 현대차 노사갈등이 자칫 노동계의 전면전으로 확산될 가능성도 우려되고 있다.

이날 파업결의 과정에서는 일부 대의원이 이례적으로 '찬반투표'로 파업을 결정하자는 의견을 내놓아 만장일치로 분위기를 주도하려던 노조와 많은 진통을 겪었다.

임시대의원대회는 휴회를 거듭하며 찬반투표 여부를 놓고 장시간 논쟁을 벌이다 이들 대의원이 퇴장한 뒤에야 파업안을 만장일치로 통과시켰다.

현대차 노조는 대의원대회에서 내달 중순으로 예정된 새 집행부 선거도 연기하기로 결정,이번 파업은 중도 사퇴 위기에 내몰린 박유기 현 노조위원장측이 주도하게 된다.

한편 울산여성단체협의회 등 115개 시민.사회.경제단체 대표들은 이날 울산시청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현대차 노조가 시민들의 간절한 염원을 저버리고 파업을 벌이면 대규모 규탄집회를 여는 등 적극적인 시민저항 운동에 나설 것"이라고 경고했다.

현대차는 노조가 지난해 12월28일 잔업 및 특근거부에 들어간 이후 지금까지 자동차 1만2798대,1901억원의 생산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집계했다.

울산=하인식 기자 hai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