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노조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우려했던 대로 차량 판매에 불똥이 튀고 있다.

12일 자동차 업계에 따르면 이달 들어 지난 10일까지 현대차의 내수 판매량은 7200여대로 지난달 같은 기간에 비해 16.1%나 감소했다.

특히 쏘나타 아반떼 싼타페 등 내수시장 주력 차종의 판매 부진이 두드러지고 있다.

지난해 단일차종으로 내수판매 1위였던 쏘나타 판매량이 4.4% 감소한 가운데 아반떼는 23.2%,싼타페는 무려 42.1% 줄었다.

이에 따라 지난 10일 현재 현대차의 내수시장 점유율은 전월 동기에 비해 4.5%포인트 떨어진 39.6%에 머물렀다.

장기 파업으로 생산차질을 빚었던 지난해 7월을 제외하고는 현대차의 시장점유율은 줄곧 40~50%를 유지해왔다.

이처럼 연초부터 현대차 판매가 부진한 데 대해 업계는 "노조에 대한 소비자들의 비판 여론이 구매 기피로 이어지고 있다"며 "노조가 너무한다,현대차 노조가 밉다는 소비자들의 심리가 '현대차 불매' 움직임으로 이어질 조짐"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특히 노조가 잔업 및 특근 거부 등으로 생산에 전념하지 못하면서 '이 기간 중 생산되는 차는 품질이 떨어질 것'이라는 불신도 한몫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현대차 관계자는 "노조가 파업을 하면 생산 차질,출고 지연,고객 이탈이 연쇄적으로 일어난다"고 토로했다.

업계 관계자는 "노조의 명분 없는 파업이 현대차에 대한 불신으로 이어지고 있다"며 "최근 현대차를 사려던 고객들이 다른 브랜드로 많이 옮겨간다는 보고를 영업 현장으로부터 받고 있다"고 말했다.

유승호 기자 ush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