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과금 차등지급에 노조 무리수, 해결 '난망'

현대자동차의 연말 생산목표 달성 성과금 차등지급과 이에 따른 노조의 반발이 결국 파업사태로까지 번져 연초부터 회사는 물론 울산지역 및 국가경제를 위기로 몰아넣고 있다.

14일 현대차동차에 따르면 성과금 차등지급에 반발해 잔업과 특근 거부를 시작한 노조는 시무식 폭력에 이어 이번 주 파업결의까지 계속 무리수를 둬 왔고 회사는 노조간부 고소와 10억원의 손해배상청구소송 등 민.형사상 책임 묻기로 맞서고 있다.

그러나 해결에 나서야 할 노사는 대화의 필요성에 공감하면서도 "2006년도 임금협상의 연장선상에서 이 문제를 논의 할 것이냐, 아니냐"의 문제를 두고 민감하게 대립하고 있어 사태가 더욱 장기화 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사태 발단 - 성과금 차등지급

현대자동차 윤여철 사장은 지난 해 12월 28일 노조사무실을 방문해 "연말 자동차 생산목표를 달성하지 못했기 때문에 임금협상 합의서대로 연말 성과금을 100%만 지급하겠다"고 통보한 뒤 통보대로 성과금을 지급했다.

2006년도 임금협상 때 연말 성과금을 '생산목표 100% 초과 때 150%, 95% 초과 때 100%, 90% 초과 때 50% 지급' 하기로 합의했으며, 결국 연말 생산을 목표 164만7천대에 2만8천730여대 모자라는 98.25% 밖에 달성하지 못했기 때문에 합의대로 100%만 지급한다는 것이었다.

회사 측이 매년 생산목표 달성 여부에 관계 없이 성과금을 지급해 온 관례를 깨고 임급협상 합의서대로 성과금을 지급한 것은 목표를 달성하지 못한 주요한 원인이 노조가 연말에 잇따라 한미FTA 반대 등을 외치는 민주노총의 정치파업에 동참한 데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노조반발 - 잔업거부, 폭력, 파업결의까지

노조는 즉시 "성과금은 매년 생산목표 달성 여부와 관계 없이 지급해 왔다"며 반발해 차등지급을 통보받는 날부터 잔업과 특근 거부에 들어갔다.

이성을 잃은 일부 노조원과 간부들은 이에 그치지 않고 지난 3일 울산공장 문화회관에서 열리던 시무식장에 난입해 분말소화기를 뿌리고 폭력을 휘둘러 윤여철 사장 등에게 부상을 입혔으며, 기물을 파손했다.

울산공장 본관 로비 점거농성과 본관 앞 텐트농성을 계속하고 지난 10일에는 울산.전주.아산공장 등에서 모두 1천500여명이 상경해 본사 항의집회를 열기도 했다.

그들은 그래도 "성과금 50%를 더 내라"는 요구가 수용되지 않자 지난 12일 임시대의원대회를 열어 파업을 결의하고 중앙쟁의대책위원회를 구성해 일단 이번 주 15일과 17일의 부분파업 일정을 확정하는 등 파업국면으로 전환했다.


◇회사 대응 - '원칙' 강조하며 법적조치

이에 대해 회사 측은 "원칙과 상식이 통하는 노사관계를 만들어야 한다", "합의서에 따라 성과금을 지급했을 뿐" 이라며 절대 추가로 지급할 수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하고 노조의 불법행동에 대해 법적대응으로 맞서고 있다.

회사는 시무식 폭력과 잔업 거부를 주도한 혐의(폭력, 업무방해)로 박유기 노조위원장 등 노조간부 22명을 지난 4일 울산동부경찰서에 고소했다.

지난 8일에는 박 위원장 등 노조간부 26명을 상대로 그동안 노조를 상대로 제기했던 민사소송 가운데 사상최대 규모인 10억원의 손해배상청구소송을 울산지법에 제기했으며, 추가 고소와 손배소 제기를 준비하고 있다.


◇전망 - 노사 '대화 명분' 달라 장기화 우려

노사가 이렇게 맞서면서 회사와 협력업체의 생산피해, 조합원의 임금손실이 커지고 지역 및 국가경제가 엄청난 타격을 입게되자 사태 해결을 촉구하는 각계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으나 노사는 쉽사리 대화의 장으로 나서지 못하고 있다.

노조는 양측의 교섭위원들이 만나 성과금 문제를 지난해 임금협상의 연장선에서 논의하자는 입장인 반면 회사는 임금협상은 이미 끝났고 합의서대로 성과금을 지급한 것이기 때문에 교섭 형식은 안되고 노조임원들과의 간담회는 수용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노조의 입장에서는 이번 성과금 사태를 지난해 임금협상의 연장선상으로 끌고가야 잔업거부와 파업에 대한 정당성을 어느정도 확보할 수 있어 교섭요구 입장에서 물러서기 어려운 처지다.

이런 가운데 이날까지 노조의 잔업 및 특근 거부로 회사에서 자동차 1만5천147대, 2천277억원의 생산손실과 조합원 1인당 최고 120여만원의 임금손실이 각각 발생했고 협력업체의 피해도 모기업 못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파업에 들어가면 피해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울산연합뉴스) 서진발 기자 sjb@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