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유없이 쉬는 남자 100만명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특별한 이유 없이 그냥 쉬고 있는 남성이 관련 통계가 작성되기 시작한 이후 처음으로 100만명을 넘어섰다.
14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비경제활동인구 1478만4000명 가운데 특별한 이유 없이 쉬는 남성은 103만3000명으로 2003년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100만명을 돌파했다.
비경제활동인구는 15세 이상 인구 가운데 취업 또는 실업상태가 아닌 사람을 의미하며 '쉬었다'는 것은 아프거나 취업이 어려울 정도로 나이가 많지는 않지만 취업할 계획이 없는 경우를 뜻한다.
비경제활동인구 중 '그냥 쉬었다'를 사유로 제시한 사람을 성별에 따라 살펴보면 남성이 103만3000명을 기록,전년보다 4만8000명(4.8%) 늘어났다.
반면 여성은 24만5000명으로 8000명(3.2%) 감소했다.
비경제활동인구 가운데 남성 구직 단념자는 작년에 7만5000명으로 전년보다 4000명(6.2%) 증가했다.
하지만 여성은 4만6000명을 기록해 8000명(14.5%) 줄었다.
이는 2003년의 3만8000명 이후 가장 적은 것이다.
구직 단념자는 1년간 직장을 찾았지만 취업에 실패해 구직을 단념한 사람을 말한다.
손민중 삼성경제연구소 연구원은 "그냥 쉬는 사람이 증가한 것은 경기가 별로 좋지 않아 직업을 구할 생각을 하지 않는 사람이 늘어난 때문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송종현 기자 scream@hankyung.com
14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비경제활동인구 1478만4000명 가운데 특별한 이유 없이 쉬는 남성은 103만3000명으로 2003년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100만명을 돌파했다.
비경제활동인구는 15세 이상 인구 가운데 취업 또는 실업상태가 아닌 사람을 의미하며 '쉬었다'는 것은 아프거나 취업이 어려울 정도로 나이가 많지는 않지만 취업할 계획이 없는 경우를 뜻한다.
비경제활동인구 중 '그냥 쉬었다'를 사유로 제시한 사람을 성별에 따라 살펴보면 남성이 103만3000명을 기록,전년보다 4만8000명(4.8%) 늘어났다.
반면 여성은 24만5000명으로 8000명(3.2%) 감소했다.
비경제활동인구 가운데 남성 구직 단념자는 작년에 7만5000명으로 전년보다 4000명(6.2%) 증가했다.
하지만 여성은 4만6000명을 기록해 8000명(14.5%) 줄었다.
이는 2003년의 3만8000명 이후 가장 적은 것이다.
구직 단념자는 1년간 직장을 찾았지만 취업에 실패해 구직을 단념한 사람을 말한다.
손민중 삼성경제연구소 연구원은 "그냥 쉬는 사람이 증가한 것은 경기가 별로 좋지 않아 직업을 구할 생각을 하지 않는 사람이 늘어난 때문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송종현 기자 screa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