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체들이 1·11대책 발표이후 올해 시행할 주택사업을 놓고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당초 계획했던 공급예정 단지들을 두고 분양을 계속 밀어붙여야 할지 판단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우선 오는 9월부터 시행될 원가공개 및 분양가 상한제에 대한 마땅한 대응책이 없다는 게 가장 골칫거리다.

분양가 문제가 연초 주택시장에서 최대 화두가 돼버린 상황에서 지금까지 관행대로 주변시세에 맞추거나 약간 높은 수준으로 책정할 경우 곧바로 고분양가 논란에 휩싸일 수 밖에 없다.

그렇다고 하반기 예정 사업을 9월 이전으로 앞당길 수도 없는 노릇이다.

특히 업체들은 상반기에 분양할 단지들이 현재 봉착한 문제들로 인해 분양시기가 9월 이후로 미뤄질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불안이 고조되고 있다.

중견 A건설사 관계자는 "최근 반값아파트 논란에 분양가 상한제,분양원가 공개 등이 불거지면서 분양시장의 청약열기가 빠르게 식어가고 있어 상반기 사업추진을 어떻게 해야할지 걱정이 많다"면서 "이 상황을 어떻게 헤쳐가야할지 난감하다"고 털어놨다.

B건설업체 한 임원도 "원가를 공개하고 분양가 상한제를 적용받을 경우 대부분의 단지에서 수익률이 급감하기 때문에 내년부터는 신규 사업 추진이 어려워져 민간주택공급에 큰 차질이 생길 것"이라고 우려했다.

박상언 유엔알컨설팅 사장은 "건설사들이 분양일정을 잡는 데 큰 혼란을 겪고 있다"면서 "국내 사업을 접고 해외에 주력하겠다는 업체와 분양될 곳만 선별적으로 손을 대겠다는 업체도 나타나고 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조재길 기자 road@hankyung.com